|
일제 식민지기‘원산노동병원’의 설립과 그 의의
정일영, 신영전
Korean J Med Hist. 2016;25(3):445-48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445
|
|
|
1960년대 박정희 정부의 식품위생 제도화*
이은희
Korean J Med Hist. 2016;25(2):205-240. Published online August 30,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205
|
|
|
1950-60년대 한국 제약산업과 일반의약품시장의 확대*
신규환
Korean J Med Hist. 2015;24(3):749-78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5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5.24.749
|
|
|
The "Oriental" Problem: Trachoma and Asi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1897-1910
Ji Hye Shin
Korean J Med Hist. 2014;23(3):573-606.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4.23.573
|
|
|
최응석의 생애: 해방직후 보건의료체계 구상과 역할을 중심으로
신영전, 김진혁
Korean J Med Hist. 2014;23(3):469-51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4.23.469
|
|
|
한국의 세계보건기구(WHO) 가입과정과 1950년대의 사업성과
이선호
Korean J Med Hist. 2014;23(1):99-126.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4.23.99
|
|
|
1970년대 의료보험 정책의 변화와 복지담론
황병주
Korean J Med Hist. 2011;20(2):425-462.
|
|
|
한국 전근대 의학사 연구 동향
신동원
Korean J Med Hist. 2010;19(1):1-43.
|
|
|
朝鮮後期 私的 醫療의 성장과 醫業에 대한 인식 전환
김성수
Korean J Med Hist. 2009;18(1):43-68.
|
|
|
해방 전후부터 정부 수립까지 (1945년-1948년)의 북한 보건의료
황상익, 김수연
Korean J Med Hist. 2007;16(1):37-70.
|
|
|
김창세 생애와 공중위생 활동
박윤재
Korean J Med Hist. 2006;15(2):211-225.
|
|
|
한신광 (韓晨光) : 한국 근대의 산파이자 간호부로서의 삶
이꽃메
Korean J Med Hist. 2006;15(1):107-119.
|
|
|
“정성운동 ”이 북한 보건의료에 미친 영향
최영인, 김수연, 황상익
Korean J Med Hist. 2006;15(1):23-48.
|
|
|
보건운동가로서 춘곡 양봉근 (春谷 楊奉根 1897-1982)의 생애
신영전, 윤효정
Korean J Med Hist. 2005;14(1):1-31.
|
|
|
고대 헬라스 의학과 연관해서 본 플라톤의 건강 개념과 자연관
이기백
Korean J Med Hist. 2004;13(1):81-93.
|
|
|
북한 의학잡지 연구: 1950년대 '인민보건'을 중심으로
김옥주
Korean J Med Hist. 2002;11(2):165-185.
|
|
|
우리나라 근대 병원의 등장
조우현, 박종연, 박춘선
Korean J Med Hist. 2002;11(1):20-48.
|
|
|
일제의 농촌 침탈과 농촌위생연구소
이규식
Korean J Med Hist. 2001;10(2):124-134.
|
|
|
군정기의 보건의료정책
신좌섭
Korean J Med Hist. 2000;9(2):212-232.
|
|
|
국립보건원의 변천
이준상, 김옥진
Korean J Med Hist. 2000;9(1):54-62.
|
|
|
20세기 우리나라 보건정책과 제도: 사회사적 이해
이종찬
Korean J Med Hist. 1999;8(2):137-147.
|
|
|
정기건강검진의 역사적 변화
서홍관
Korean J Med Hist. 1999;8(1):79-89.
|
|
|
의사학자 지거리스트의 삶: 학문과 사회적 실천 사이의 긴장
이종찬
Korean J Med Hist. 1998;7(2):209-221.
|
|
|
조선말기(1876-1910) 근대보건의료체제의 형성과정과 그 의미
신동원, 황상익
Korean J Med Hist. 1996;5(2):155-168.
|
|
|
독일 산업보건제도의 변천: 19세기 산업화 초기부터 바이마르공화국까지
고경심, 황상익
Korean J Med Hist. 1996;5(2):129-146.
|
|
|
보건대학원 모델의 역사성: 191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이종찬
Korean J Med Hist. 1996;5(2):111-128.
|
|
|
미국 보건의료정책의 원초적 경험,1910-1932: 보건정책사의 새로운 지평
이종찬
Korean J Med Hist. 1995;4(2):147-157.
|
|
|
교회활동으로서 의료사업의 역사적 고찰
李泰俊
Korean J Med Hist. 1992;1(1):13-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