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Search > Browse Articles > Search



협력과 대립 : 근대 중국 서의계(西醫界)의 파벌문제
조정은
Korean J Med Hist. 2016;25(2):241-272.   Published online August 30,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241
                              
루이 14세의 인삼: 17세기 말-18세기 초 프랑스의 본초학 지식 형성*
이혜민
Korean J Med Hist. 2016;25(1):111-146.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111
                              
후지타 쓰구아키라의 생애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의 의학/의료/위생
최규진
Korean J Med Hist. 2016;25(1):41-76.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41
                              
1950-60년대 한국 제약산업과 일반의약품시장의 확대*
신규환
Korean J Med Hist. 2015;24(3):749-78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5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5.24.749
                              
일제 하 캐나다 장로회의 선교의료와 조선인 의사: 성진과 함흥을 중심으로
허윤정, 조영수
Korean J Med Hist. 2015;24(3):621-65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5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5.24.621
                              
조선 의관 허준의 임상 의학 사유 엿보기:*『동의보감』에 수록된 임상 사례 및 의안 분석
오재근
Korean J Med Hist. 2015;24(3):581-62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5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5.24.581
                              
조선전기 감초의 토산화와 그 의미
이경록
Korean J Med Hist. 2015;24(2):423-455.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5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5.24.423
      
미시사 연구의 이론과 동향: 의사학의 시각
설혜심
Korean J Med Hist. 2015;24(2):325-354.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5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5.24.325
      
"If I Only Touch Her Cloak": The Sisters of Charity of St. Joseph in New Orleans' Charity Hospital, 1834-1860
Hyejung Grace Kong, Ock Joo Kim
Korean J Med Hist. 2015;24(1):241-283.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5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5.24.241
      
의료선교사의 중의학에 대한 인식: 박의회보(博醫會報)를 중심으로(1887-1932)
조정은
Korean J Med Hist. 2015;24(1):163-19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5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5.24.163
         Cited By 1
19세기 과학소설에 재현된 의과학 발전양상 연구: 『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생명과학 실험을 중심으로
추재욱
Korean J Med Hist. 2014;23(3):543-57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4.23.543
      
최응석의 생애: 해방직후 보건의료체계 구상과 역할을 중심으로
신영전, 김진혁
Korean J Med Hist. 2014;23(3):469-51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4.23.469
      
부양학파, 한국 전통 의학 학술 유파의 탄생과 전승: 이규준, 서병오, 이원세 그리고 소문학회
오재근
Korean J Med Hist. 2014;23(1):57-98.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4.23.57
                                 Cited By 1
히포크라테스 의학에서 엠페도클레스의 영향: 가정(hypothesis)과 인간의 본질(physis) 문제
이기백
Korean J Med Hist. 2013;22(3):879-914.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879
      
1950년대 후반 북한에서 파블로프 학설의 역할: 보건의료계 사상투쟁과 한의학의 과학화를 중심으로
한선희, 김옥주
Korean J Med Hist. 2013;22(3):801-846.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801
      
한국 현대 의학사 연구에서 구술사의 적용: 의학자들의 구술을 중심으로
김옥주
Korean J Med Hist. 2013;22(2):449-482.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449
      
최근 한국의학사 연구에서 구술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
신규환
Korean J Med Hist. 2013;22(2):421-448.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421
         Cited By 1
구술사와 서사의학의 만남, 그 시론적 탐색
황임경, 김호연
Korean J Med Hist. 2013;22(2):357-388.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357
      
클로드 베르나르의 실험 의학 : 19세기 프랑스 문학에 나타난 자연주의와 근대성의 기원 연구
이찬규, 이나미
Korean J Med Hist. 2013;22(1):275-31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275
      
인도 안과의학의 동아시아 전래와 『용수보살안론(龍樹菩薩眼論)』
김성수, 강성용
Korean J Med Hist. 2013;22(1):217-27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217
      
약 하나로 병 하나 고치기(用一藥治一病): 『동의보감』 단방의 편찬과 계승
오재근
Korean J Med Hist. 2013;22(1):1-4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1
      
피의 인종주의와 식민지의학: 경성제대 법의학교실의 혈액형인류학
정준영
Korean J Med Hist. 2012;21(3):513-550.
      
개항 후 서양의학 도입과 ‘결핵’ 용어의 변천
최은경
Korean J Med Hist. 2012;21(2):227-250.
      
『본초강목』이 조선 후기 본초학 발전에 미친 영향: 미키 사카에의 『임원경제지』 본초학 성과 서술 비판
오재근
Korean J Med Hist. 2012;21(2):193-226.
      
청말 해부학 혁명과 해부학적 인식의 전환
신규환
Korean J Med Hist. 2012;21(1):67-100.
      
침술(鍼術)의 성립에 관한 연구
정우진
Korean J Med Hist. 2011;20(2):463-492.
      
선교의사 알렌(Horace N. Allen)의 의료 활동과 조선인의 몸에 대한 인식 고찰
이영아
Korean J Med Hist. 2011;20(2):291-326.
      
조선 의서 『동의보감』은 왜 본초 부문을 「탕액편」이라고 하였을까 : 『동의보감』 「탕액편」 중 이고, 주진형의 본초학 성과 활용 분석
오재근
Korean J Med Hist. 2011;20(2):263-290.
      
『향약집성방』의 편찬과 중국 의료의 조선화
이경록
Korean J Med Hist. 2011;20(2):225-262.
      
1910-20년대 개성상인의 백삼(白蔘) 상품화와 판매 확대 활동
양정필
Korean J Med Hist. 2011;20(1):83-118.
      
E-Submission
Email Alert
Author's Index
Ichsea2019
SCImago Journal & Country Rank
Web of Science
Scopus
PubMed
KoreaMed
KoMCI
GoogleScholar
DOAJ
ScienceCentral
Similarity Check
Crossref Cited-by Linking
CrossMark
Funder Registry
Metadata
ORCID
COPE
Editorial Office
The Korean Society for the History of Medicine,
Department of the History of Medicine and Medical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03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TEL: +82-2-740-8376   FAX: +82-2-765-5110   E-mail: medhistory@hanmail.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  KSHM HOME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for the History of Medicine.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