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현대 의학사 연구에서 구술사의 적용: 의학자들의 구술을 중심으로
김옥주
Korean J Med Hist. 2013;22(2):449-482.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449
|
|
|
최근 한국의학사 연구에서 구술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
신규환
Korean J Med Hist. 2013;22(2):421-448.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421
|
|
|
구술사와 서사의학의 만남, 그 시론적 탐색
황임경, 김호연
Korean J Med Hist. 2013;22(2):357-388.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357
|
|
|
약 하나로 병 하나 고치기(用一藥治一病): 『동의보감』 단방의 편찬과 계승
오재근
Korean J Med Hist. 2013;22(1):1-4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1
|
|
|
1960년대 한국의 연탄가스중독의 사회사: 부주의로 인한 사고에서 사회적 질병으로
김옥주, 박세홍
Korean J Med Hist. 2012;21(2):279-344.
|
|
|
『본초강목』이 조선 후기 본초학 발전에 미친 영향: 미키 사카에의 『임원경제지』 본초학 성과 서술 비판
오재근
Korean J Med Hist. 2012;21(2):193-226.
|
|
|
양감상한(兩感傷寒)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의가(醫家)들의 상한(傷寒) 인식
오준호
Korean J Med Hist. 2012;21(1):1-24.
|
|
|
1950-60년대 한국의 뇌폐흡충증과 심보성의 대뇌반구적출술
박지영, 미야가와 타쿠야, 홍정화, 김옥주
Korean J Med Hist. 2011;20(1):119-161.
|
|
|
영조의 질병력과 사망원인: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김선형, 김달래
Korean J Med Hist. 2010;19(2):299-342.
|
|
|
한국의 서양의학사 연구 동향과 전망
김옥주
Korean J Med Hist. 2010;19(1):89-117.
|
|
|
동아시아의학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신규환
Korean J Med Hist. 2010;19(1):69-87.
|
|
|
한국 근대 의학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박윤재
Korean J Med Hist. 2010;19(1):45-68.
|
|
|
임상에서의 실험 - 하비 쿠싱의 신경생리학 연구
김옥주
Korean J Med Hist. 2009;18(2):205-222.
|
|
|
대한의사협회 휘장의 소사 :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와 헤르메스의 지팡이
신영전
Korean J Med Hist. 2007;16(1):21-35.
|
|
|
서양정신의학의 도입과 그 변천과정(2) 일제 강점기의 정신의학 교육(1910-1945)
정원용, 이나미, 이부영
Korean J Med Hist. 2006;15(2):157-187.
|
|
|
경락과 혈위란 무엇인가? - 경락과 혈위의 개념에 대한 의사학적 고찰
인창식, 고형균
Korean J Med Hist. 2005;14(2):137-150.
|
|
|
醫史學者 三木榮의 생애와 朝鮮醫學史及疾病史
김호
Korean J Med Hist. 2005;14(2):101-122.
|
|
|
서양 근대 이후의 의사의 정체성
김옥주
Korean J Med Hist. 2005;14(1):51-66.
|
|
|
한국 역사 교과서의 의학사 서술과 개선방향
고일영, 주진오
Korean J Med Hist. 2004;13(2):298-314.
|
|
|
신증후 출혈열의 질병사적 고찰
이재광, 황상익
Korean J Med Hist. 2004;13(1):37-61.
|
|
|
'조선인삼'의 기원에 대하여
양정필, 여인석
Korean J Med Hist. 2004;13(1):1-19.
|
|
|
'중국인삼'의 실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양정필, 여인석
Korean J Med Hist. 2003;12(2):144-166.
|
|
|
William Stewart Halsted History of Surgery Medical Education in Early 20th Century America
Ock Joo Kim
Korean J Med Hist. 2003;12(1):66-87.
|
|
|
북한 의학잡지 연구: 1950년대 '인민보건'을 중심으로
김옥주
Korean J Med Hist. 2002;11(2):165-185.
|
|
|
경접형동 접근법의 성립과 발전에 관한 역사적 고찰
서인석, 김옥주, 황상익
Korean J Med Hist. 2002;11(1):65-84.
|
|
|
조선 전기 역명에 대한 민간의 대응
권복규, 황상익
Korean J Med Hist. 1999;8(1):15-24.
|
|
|
의사학자 지거리스트의 삶: 학문과 사회적 실천 사이의 긴장
이종찬
Korean J Med Hist. 1998;7(2):209-221.
|
|
|
디프테리아에 대한 근대의학적 개념의 형성과정
김옥주, 황상익
Korean J Med Hist. 1998;7(2):165-177.
|
|
|
國內 醫學 學術誌 50年史(1945-1995): 基礎醫學 分野를 中心으로(1)
황상익, 권복규
Korean J Med Hist. 1998;7(1):99-118.
|
|
|
조선시대 치종학에 관하여: 그 발전배경과 치종전문서의 내용분석(2)
신좌섭, 기창덕, 황상익
Korean J Med Hist. 1998;7(1):77-9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