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조의 『의약론』에 관한 연구
황임경, 황상익
Korean J Med Hist. 2003;12(2):97-109.
|
|
|
Cultural Hegemony of Medicine in Modern China: Focused on Debates between Modernists and Neotraditionalists, 1900s~1930s
Jong Chan Lee
Korean J Med Hist. 2003;12(1):13-33.
|
|
|
북한 의학잡지 연구: 1950년대 '인민보건'을 중심으로
김옥주
Korean J Med Hist. 2002;11(2):165-185.
|
|
|
조선시대의 의원 및 의업의 사회적 지위에 관한 소고: 허준의 경우를 예로 하여
박경련
Korean J Med Hist. 2002;11(2):154-164.
|
|
|
한국 근대 사립병원의 발전과정
신규환, 서홍관
Korean J Med Hist. 2002;11(1):85-110.
|
|
|
의와 오리엔탈리즘: 개화기 조선을 중심으로
이종찬
Korean J Med Hist. 2002;11(1):49-64.
|
|
|
구리개 제중원의 규모와 활동
왕현종, 이경록, 박형우
Korean J Med Hist. 2001;10(2):135-152.
|
|
|
군정기의 보건의료정책
신좌섭
Korean J Med Hist. 2000;9(2):212-232.
|
|
|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의사와 환자간의 만남의 장면
이상규
Korean J Med Hist. 2000;9(1):63-91.
|
|
|
우리나라 의학과 한의과대학의 통합강의 가능성
김재식, 김두희, 이원길, 서장수, 송경은, 강병조, 박은휘, 최재갑
Korean J Med Hist. 1999;8(2):269-277.
|
|
|
중국 중서의결합의 발전과정과 정책변화
신순식
Korean J Med Hist. 1999;8(2):207-232.
|
|
|
조선 전기 역명에 대한 민간의 대응
권복규, 황상익
Korean J Med Hist. 1999;8(1):15-24.
|
|
|
한의학의 역사
기창덕
Korean J Med Hist. 1999;8(1):1-14.
|
|
|
의학과 진화론의 상관성: 메치니코프의 의학사상에 나타난 진화론
이정희
Korean J Med Hist. 1998;7(2):199-207.
|
|
|
몸의 윤리학: 스피노자와 이제마에 있어 몸의 윤리적 의미에 관한 고찰
여인석
Korean J Med Hist. 1998;7(2):179-197.
|
|
|
의료일원화와 동서의학에 관한 연구
김재식, 이원길, 서장수, 송경은, 이중원, 김풍택, 이양수, 강병조, 이죽내, 김두희, 박영춘, 정태호, 김종석, 손태중, 박언휘
Korean J Med Hist. 1998;7(1):47-61.
|
|
|
舊韓末 近代西洋醫學의 수용 과정 연구(1)
황상익
Korean J Med Hist. 1998;7(1):13-22.
|
|
|
一山 金斗鍾 선생의 생애와 학문
여인석
Korean J Med Hist. 1998;7(1):1-11.
|
|
|
헤르만 보어하브: 18세기 서양의학에서의 위치
김옥주, 이명현, 황상익
Korean J Med Hist. 1997;6(1):121-132.
|
|
|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 강의 역사
김재식, 이원길, 서장수, 송경은, 손태중
Korean J Med Hist. 1997;6(1):83-88.
|
|
|
朝鮮時代末 開明期의 醫療(2)
奇昌德
Korean J Med Hist. 1997;6(1):1-48.
|
|
|
삼국시대의 불교교학과 치병활동의 관계
여인석
Korean J Med Hist. 1996;5(2):197-214.
|
|
|
海觀 吳兢善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奇昌德
Korean J Med Hist. 1996;5(2):147-154.
|
|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50년사
지제근
Korean J Med Hist. 1996;5(1):33-52.
|
|
|
앨리스 해밀턴: 의학연구와 사회개혁이 조화된 삶
김옥주, 황상익
Korean J Med Hist. 1996;5(1):11-20.
|
|
|
개화기 시대 서양의학의 도입과 전통의학의 몰락, 1876-1910년
이종찬, 기창덕
Korean J Med Hist. 1996;5(1):1-10.
|
|
|
우리나라 醫史學 교육의 현황 및 바람직한 교육방안
황상익, 서홍관
Korean J Med Hist. 1995;4(1):85-98.
|
|
|
한의학의 병리이론
여인석
Korean J Med Hist. 1995;4(1):37-44.
|
|
|
東武 李濟馬의 哲學과 醫學思想
鄭遇悅
Korean J Med Hist. 1994;3(2):220-231.
|
|
|
근대 임상의학의 형성에 관한 두 가지 다른 역사적 해석
이종찬
Korean J Med Hist. 1994;3(2):193-2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