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Aims and Scope
About the Journal
Editorial Board
Best Practice
Editorial Office
Instructions for Authors
Research and Publication Ethics
Open Access and Copyright Policy
E-Submission
Conflict of Interest Form
All issues
Current Issue
Most Read Articles
Most Cited Articles
Korean J Med Hist
Search
Author Index
About KSHM
Board/Committee
Constitution & Bylaws
Membership
Internet Links
Notices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Search
> Browse Articles > Search
식민지 공중위생 지식의 형성과 그 유산: 위생시험실의 활동을 중심으로
박지영
Korean J Med Hist.
2022;31(2):429-466.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429
일제강점기 위생 마스크의 등장과 정착
현재환
Korean J Med Hist.
2022;31(1):181-22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181
Web of Science 1
한국전쟁기 북한의 전시 보건의료체계 구축과 연변 조선인 사회의 지원
문미라
Korean J Med Hist.
2020;29(2):503-535.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503
Web of Science 1
통계와 식민의학: 식민지 시기 조선인 결핵 실태를 둘러싼 논란을 중심으로
박지영
Korean J Med Hist.
2019;28(2):509-550.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9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9.28.509
호남 지역의 위생·의료문제: 일제 ‘위생규율’의 식민지 지역사회에 대한 침투와 한계
마쓰모토 다케노리(松本武祝), 정승진
Korean J Med Hist.
2018;27(3):357-396.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8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8.27.357
1960-70년대 한국 정신의학 담론 연구* - 정신위생학에서 현대 정신의학으로 -
임지연
Korean J Med Hist.
2017;26(2):181-214. Published online August 30,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181
Web of Science 2
Crossref 1
협력과 대립 : 근대 중국 서의계(西醫界)의 파벌문제
조정은
Korean J Med Hist.
2016;25(2):241-272. Published online August 30,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241
Web of Science 1
1960년대 박정희 정부의 식품위생 제도화*
이은희
Korean J Med Hist.
2016;25(2):205-240. Published online August 30,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205
Web of Science 1
Crossref 1
최응석의 생애: 해방직후 보건의료체계 구상과 역할을 중심으로
신영전, 김진혁
Korean J Med Hist.
2014;23(3):469-51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4.23.469
Bodies for Empire: Biopolitics, Reproduction, and Sexual Knowledge in Late Colonial Korea
Jin Kyung Park
Korean J Med Hist.
2014;23(2):203-238.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4.23.203
Web of Science 14
Crossref 7
식민초기 조선의 교육잡지를 통해 본 학교위생 및 체육교육 연구: 1910~1931년의 만주사변 전까지를 중심으로
황의룡, 김태영
Korean J Med Hist.
2013;22(3):645-68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645
Crossref 1
식민지 조선에서의 정신병자에 대한 근대적 접근
이방현
Korean J Med Hist.
2013;22(2):529-578.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529
Crossref 3
熱帶疾病의 地政學질병의 全地球化에 관한 地理疫學的 관점
이종찬
Korean J Med Hist.
2005;14(2):151-170.
The Making of Hygienic Modernity in Meiji Japan, 1868~1905
Jong Chan Lee
Korean J Med Hist.
2003;12(1):34-53.
의와 오리엔탈리즘: 개화기 조선을 중심으로
이종찬
Korean J Med Hist.
2002;11(1):49-64.
서재필의 생애와 사상: 근대적 공중위생론의 대중적 전파자
이종찬
Korean J Med Hist.
1997;6(2):217-230.
19세기 독일 사회의학의 역사적 발전
李宗燦
Korean J Med Hist.
1994;3(1):20-2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