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경성 지역 한의원 이용 실태: 1931년도 보춘의원(普春醫院) ‘장부’ 분석을 통해 본 경우
전종욱, 신동원
Korean J Med Hist. 2024;33(1):59-101.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4.33.59
|
|
|
근대기 의료 윤리로서의 ‘인술’의 재탄생
이효진
Korean J Med Hist. 2023;32(1):355-386.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3.32.355
|
|
|
Medical Treatment of Criminals in Premodern China Based on Qing Era Local Archives: Focusing on the Case of Ba County in the late 18th Century
HANBARK KIM
Korean J Med Hist. 2023;32(1):321-353.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3.32.321
|
|
|
근대 중국 우두(牛痘)의 역사: 백신 기술과 도구 그리고 현지화
조정은
Korean J Med Hist. 2023;32(1):1-32.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3.32.1
|
|
|
사육(飼育)의 정치: 근대 일본의 광견병 방역과 인간·개 관계의 재편
황영원
Korean J Med Hist. 2022;31(3):579-61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579
|
|
|
일본 의학사의 연구동향과 전망: 연구 주제와 방법론의 확대
김영수
Korean J Med Hist. 2020;29(2):465-501.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465
|
|
|
한국 전근대의료사의 연구동향과 전망(2010-2019): 분야의 확장과 연구 방법의 다양화
김성수
Korean J Med Hist. 2020;29(2):371-423.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371
|
|
|
“Medicine of the Grassroots”: Korean Herbal Medicine Industry and Consump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Yong-yuan HUANG
Korean J Med Hist. 2020;29(1):215-27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215
|
|
|
보구녀관(普救女館)의 명칭과 표기에 관한 재고찰
이희재, 강문석, 권복규
Korean J Med Hist. 2019;28(3):685-72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9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9.28.685
|
|
|
대한적십자병원(1905-1907): 설립 및 운영, 그리고 폐지를 중심으로*
이규원, 최은경
Korean J Med Hist. 2018;27(2):151-184.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8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8.27.151
|
|
|
한센병을 둘러싼 제국의학의 근대사 -일본어 미디어를 통해 본 대중관리 전략-*
서기재
Korean J Med Hist. 2017;26(3):417-454.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417
|
|
|
근대 일본의‘병원’: 용어의 도입과 개념형성을 중심으로*
김영수
Korean J Med Hist. 2017;26(1):29-58.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29
|
|
|
제바스티안 크나이프와 독일 자연치유운동 자연주의와 근대의학 사이에서*
고유경
Korean J Med Hist. 2016;25(3):557-59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557
|
|
|
재동 및 구리개 제중원의 입지와 배치 및 공간 구성에 관한 재고찰
이연경
Korean J Med Hist. 2016;25(3):373-406.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373
|
|
|
대한의원 본관의 건축 과정과 건축 계획적 특성
이규철
Korean J Med Hist. 2016;25(1):1-4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1
|
|
|
Gout와 통풍(痛風)의 어원 형성과 번역 과정에 관한 의사학적 고찰
조재흥, 정재영
Korean J Med Hist. 2015;24(2):533-557.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5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5.24.533
|
|
|
식민지 조선에서의 정신병자에 대한 근대적 접근
이방현
Korean J Med Hist. 2013;22(2):529-578.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529
|
|
|
클로드 베르나르의 실험 의학 : 19세기 프랑스 문학에 나타난 자연주의와 근대성의 기원 연구
이찬규, 이나미
Korean J Med Hist. 2013;22(1):275-31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3.22.275
|
|
|
일제강점기 여의사 허영숙의 삶과 의학
신동원
Korean J Med Hist. 2012;21(1):25-66.
|
|
|
에도 말 메이지 초 일본 서양의사의 형성에 대하여
김옥주, 미야가와 타쿠야
Korean J Med Hist. 2011;20(2):493-554.
|
|
|
한국 근대 의료 건축물에 관한 연구
한동관, 류창욱, 고상균, 정재국, 문종윤, 박윤형
Korean J Med Hist. 2011;20(2):395-424.
|
|
|
선교의사 알렌(Horace N. Allen)의 의료 활동과 조선인의 몸에 대한 인식 고찰
이영아
Korean J Med Hist. 2011;20(2):291-326.
|
|
|
1910-20년대 개성상인의 백삼(白蔘) 상품화와 판매 확대 활동
양정필
Korean J Med Hist. 2011;20(1):83-118.
|
|
|
동아시아의학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신규환
Korean J Med Hist. 2010;19(1):69-87.
|
|
|
한국 근대 의학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박윤재
Korean J Med Hist. 2010;19(1):45-68.
|
|
|
한말-일제초 근대적 약업 환경의 대두와 한약업자의 대응: ‘매약’ 제조업자의 등장과 성장을 중심으로
양정필
Korean J Med Hist. 2006;15(2):189-209.
|
|
|
이제마의 의학론과 그 시대적 성격
이경록
Korean J Med Hist. 2005;14(2):79-100.
|
|
|
서양 근대 이후의 의사의 정체성
김옥주
Korean J Med Hist. 2005;14(1):51-66.
|
|
|
한국 역사 교과서의 의학사 서술과 개선방향
고일영, 주진오
Korean J Med Hist. 2004;13(2):298-314.
|
|
|
The Making of Hygienic Modernity in Meiji Japan, 1868~1905
Jong Chan Lee
Korean J Med Hist. 2003;12(1):34-5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