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 Med Hist > Volume 29(1); 2020 > Article
근대 상하이 공공조계 우두 접종과 거주민의 반응: 지역적·문화적 비교를 중심으로†

Abstract

In modern Shanghai, smallpox was one of the most threatening diseases with its mortality rate going up to 30 percent. In response to the disease, Dr. William Lockhart, a medical missionary of the London Missionary Society, introduced vaccination(牛痘) to the Chinese people in Shanghai. He built the first western style hospital in Shanghai, Renji Hospital (仁濟醫院), in 1843. At this time, native doctors also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For example, Huang Chun-pu (黄春圃) was in charge of the dispensary in the Chinese City in Shanghai, and he was the one who introduced vaccination under Dr. Lockhart’s direction.
In 1868, the Health Office of Shanghai Municipal Council began to implement a vaccination program. Around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the Health Office of Shanghai Municipal Council managed several sub-district offices, hospitals, dispensaries, gaol, and even the traditional place like simiao [祀庙] for the free vaccinations. Urban residents benefited from a sanitary system, such as wide and free vaccination, compared to people who lived in rural areas. Moreover, Shanghai possessed the advantage of having the vaccine as a staple product of the Municipal Laboratory. The number of units of the vaccine issued from the Laboratory in sequence of years from 1898 to 1920 has been 115,351 on average.
Unlike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where systematic inoculation was conduct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unicipal Council, the Chinese City was still reliant on charity organizations in the early 1900s. The foreign residence in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had a strong influence from the foreign governments, and foreign doctors were well-aware of the need for the vaccination. However, the Chinese City was a Chinese enclave that was still under the traditional rule of the Qing Dynasty.
In addition, the people of Shanghai had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smallpox vaccination, and this became an obstacle to the establishment of urban sanitation systems. Some Chinese people still relied on the traditional Chinese variolation (人痘) and Chinese custom. For example, Chinese people still applied for inoculation in the spring and avoided summer and fall following traditional Chinese variolation, even though the best time to get vaccinated was in early winter before the spread of smallpox.
In addition, foreigners were often more problematic than Chinese because they often overlooked the importance of vaccines and relied on drugs instead. The municipal authority, therefore, provided a wide range of free vaccinations for the poor and needy people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ies, and with such measures, sought to establish a stable urban sanitation system. This had been the key to the success of hygiene policies.

1. 서론

두창(痘瘡, smallpox)[1]은 두창 바이러스(variola virus)로 인해 걸리는 전염병(감염병)이다. 주로 비말을 통해 전염되며, 고열, 피로, 두통, 요통, 발진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발진에서 고름이 생기고 고름이 딱지가 되어 떨어지면 그 자리에 곰보 자국이 생기는게 특징이다. 전염성이 강하고 치사율이 높아 오랫동안 사람들을 두려움에 떨게 하였다. 20세기 초 상하이에서 지정한 10대 전염병 중 하나에 두창이 포함된 것만 봐도 이를 잘 알 수 있다.
중국에서 두창은 약 기원전 4-5세기부터 유행하였다. 중국인은 두창을 예방하기 위해 적어도 11세기부터 인두법(人痘法, Variolation)을 시행했다. 인두법이란 두창 환자에게서 채취한 시료를 인체에 주입해 약하게 두창을 앓도록 하여 면역을 만드는 방법이다[2]. 전염성이 높아 다른 사람에게 병을 옮길 위험이 크나 한 번 접종하면 평생 면역이 생긴다는 장점도 있다. 18세기 말 영국 의사 에드워드 제너(Edward Jenner, 1749-1823)가 처음으로 증명한 우두법(牛痘法, Vaccination)은 소의 우두 고름을 사람에게 접종해서 두창의 면역력을 얻는 방식이다. 인두법과 달리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염려가 없어 안전하나 주기적으로 재접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인두법과 우두법은 두창 환자의 고름이나 딱지(인두법)와 소의 고름(우두법)을 사용한다는 점은 다르나 이를 사람의 몸속에 넣어 인공적으로 면역을 생기게 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는 같다[3].
제너의 우두 백신은 19세기에 이르러 동아시아에 전파되기 시작한다. 중국에 우두법을 처음으로 소개한 인물은 동인도회사 외과의 알렉산더 피어슨(Alexander Pearson)으로 알려져 있다. 1805년 피어슨은 포르투갈 상인 페드로 후에(Pedro Huet)가 가져온 우두 백신을 이용하여 마카오에서 우두접종을 실시했다. 게다가 같은 해 그가 쓴 우두법 소책자는 중국어로 번역되어 중국 전역에 우두법을 알리는데 크게 이바지하였다(朴基水, 2013; 福士由紀, 2015; 조정은, 2018 참고). 이 과정에서 중국인 두사(痘師: 종두의)와 상인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다(梁其姿, 2012; 朴基水, 2013). 인두법이 서양으로 건너가 우두법 개발의 계기를 마련했고, 다시 우두법이 동아시아에 서양 근대의학을 대표하는 기술로 소개되었다는 점은 의학지식의 동서교류를 보여주는 한편, 의학을 동서로 구분하기보다는 실용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강신익 외, 2007: 121; 조정은, 2018 참고).
상하이(上海)에서는 그로부터 40년이 지난 1845년 역시나 외국인의 손에 의해 우두법이 처음 시행되었다. 바로 영국인 의료선교사 윌리엄 록하트(William Lockhart, 1811-1896)이다. 그가 1844년 건립한 인제의원은 상하이 최초의 서양식 병원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찍부터 윌리엄 록하트와 인제의원의 의료활동에 주목한 연구가 등장하였다(王爾敏, 2006 외). 특히 인제의원의 역사를 정리한 자료는 인제의원의 활동을 살피는데 큰 도움이 된다(Elliston, 1941; 朱明德, 1999).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주로 근대 서양의학의 도입에 있어 윌리엄 록하트를 비롯한 의료선교사의 활동만을 부각하거나, 인제의원의 발전 과정을 정리하는 데 주력하여 우두법의 전파에 미친 영향에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우두법이 상하이에 전파되는 데 인제의원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록하트는 인제의원을 설립하고 의료활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우두접종도 실시하였다. 우두법은 무서운 전염병인 두창을 예방하여 근대의학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도구이자 기독교의 자비로움을 보여줄 수 있는 도구였기때문이다. 게다가 19세기 말 상하이의 경우, 급속한 인구증가와 도시화로 인해 두창의 위험성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였다.
이 때문에 상하이의 조계 정부 또한 두창 방역을 위해 노력했다. 그 중심에는 우두법이 있었다. 우두법 덕분에 두창은 페스트나 콜레라와 달리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한 질병이 되었다. 두창의 발생은 ‘문명화가 부족한 장소에서만 생존하는 중세의 참극’으로, 두창의 성공적인 방역은 ‘지역사회의 위생교육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여겨졌고(Shanghai Municipal Council, 1916: 74A; 1922: 89A), 따라서 의료위생행정에서 우두접종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근대 상하이의 위생이나 전염병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두창에 관한 내용은 대부분 전염병이나 방역 문제를 다루면서 사례 중 하나로 언급하는 정도에 불과하다(彭善民, 2007; 福士由紀, 2015; Nakajima, 2018 등). 이에 본 논문에서는 행정 권력과 지역사회가 우두법의 확대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를 본격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우두법의 확대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차이를 통해 상하이 위생체제의 불균형성을 미흡하게나마 언급하고자 한다[4].
한편으로 우두법이 세력을 확장해나가는 중에도 인두법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과 중국인의 인두법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전통적인 인두법이 우두법 전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다. 중국인들은 인두법을 통해 백신접종과 면역이라는 개념을 이해하고 있었고, 그 덕분에 큰 위화감 없이 우두법을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이다(梁其姿, 2012: 64). 한편으로 절개를 해야 하는 완종법에 대한 공포감, 외국인이 들여 온 기술에 대한 기피, 완종법을 실시할 의료종사자의 부족이라는 문제가 우두법의 확대를 방해했다는 지적도 있다(福士由紀, 2015: 36-37). 여기에서는 주로 문화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이 문제에 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근대 상하이의 우두 접종이 확대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우두법의 확대를 둘러싼 거주민의 반응을 지역적·문화적 비교를 통해 검토하는 것이다. 우선 2장에서는 상하이의 두창 유행 현황을 통계 수치를 통해 파악할 것이다. 또한 1845년부터 1899년까지 인제의원을 중심으로 시행된 우두접종을 통해 두창 방역의 지역적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공공조계 공부국(工部局)에서는 1870년부터 비교적 체계적인 무료 우두접종을 실시했지만, 중국인이 모여 사는 화계(華界)에서는 전통적인 자선사업과 마찬가지로 중국인 관리의 도움 아래 인제의원의 황춘푸(黃春圃, 1833-1911)가 무료로 우두를 접종하였다. 이는 서구화되어 가는 조계와 전통이 남아있는 화계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3장에서는 공공조계 공부국이라는 행정 권력이 우두 접종을 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과 이를 확대해 나가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인두와 우두에 대한 거주민의 인식을 살펴보고, 전통적인 관념이 우두법의 시행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위생조치와 이에 대한 중국인들의 저항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어 조계의 중요한 구성원이었던 외국인에 대해서는 소홀하였으나(예를 들면 福士由紀, 2015),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의 두창 인식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우두접종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2. 두창 유행 현황과 종두법의 변화

1) 위생환경의 악화와 두창

상하이에는 1845년 영국인 거류지를 시작으로 미국 조계(1848년), 프랑스 조계(1849년)가 잇따라 설립되었다. 1863년에는 영국조계와 미국조계가 합쳐져 공공조계(公共租界,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가 된다. 화계(Chinese City)는 난스(南市, Old Walled City)와 자베이(閘北), 기타 교외지역으로 이루어졌다. 이 중 공공조계의 최고 시정 기구는 1854년 7월 설립된 공부국으로, 중국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된 기구였다. 공부국 내 최고 결정기구는 동사회(董事會, 이하 이사회)이다. 공부국이 설립되면서 본격적인 위생행정이 시작되었고, 1898년 전문위생행정기관인 위생처(衛生處)가 조직되었다(福士由紀, 2010: 51). 그리고 1921년이 되면 공부국 내에 화인고문위원회(華人顧問委員會)가 설립되어 중국인들도 공공조계의 행정에 관여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에는 외국인과 중국인의 거주지를 분리하는 화양별거의 원칙에 따라 조계에는 외국인이, 화계에는 중국인이 살았다. 그러나 소도회(小刀會)의 난이나 태평천국 운동으로 인해 중국인 피난민이 조계로 몰려들면서 조계의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나게 된다. 1855년부터 10년간 공공조계의 인구는 2만에서 9만으로 늘었고, 프랑스 조계의 인구는 4만 명이 늘어 조계지의 인구는 총 11만 명 증가하였다(熊月之, 1999: 50). 1880년대부터는 부유한 중국인 관리와 상인들이 상하이로 이주해오기 시작하였다. 표 1과 같이 상하이의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1910년에서 1930년 사이 프랑스 조계는 약 4배, 화계는 3배 가까이 인구가 늘었다. 공공조계의 인구는 1870년 76,713명에서 1930년 1,007,868명으로 약 13배 늘었다. 대다수는 중국인이었다. 다음 표는 공공조계의 인구수를 중국인과 외국인으로 나누어 정리한 것이다[5].
1870년부터 1930년까지 공공조계 중국인 인구는 약 13배, 외국인은 약 21배가 늘었다. 그러나 비율로 따지면 전체 인구 중 중국인은 96~97%이고, 외국인은 3~4%에 불과하다. 해마다 엄청난 수의 중국인이 공공조계로 들어왔다. 급격한 인구증가와 이로 인한 위생환경의 악화는 상하이를 전염병의 온상으로 만들었다.
특히 두창의 유행이 심각했다. 위생보고서에서는 “상하이에는 3년마다 백신접종을 반복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두창이 만연해있다[6].”, “중국에는 언제나 두창이 유행하고 있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88A)라고 지적하였다. 다음 는 1887년부터 1930년까지 공공조계 두창 사망자 수를 정리한 것이다.
인구증가 그래프와 두창 사망자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인구증가와 두창 사망자 수 증가가 서로 관련이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인구증가 그래프와 두창 사망자 수 그래프가 항상 똑같은 모양인 것은 아니다. 인구는 계속해서 늘었으나 두창 사망자는 늘어났다 줄어들기를 반복한다. 돌트(Dold)는 1894년부터 1913년까지 상하이 조계지 내 두창 환자를 조사한 결과, 두창이 약 3년 주기로 유행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陶熾, 1935: 208). 예를 들면 1919년과 1920년에는 두창 사망자가 거의 없었으나, 1921년에는 248명이나 발생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 문제는 3장의 1절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또한 사망자 수는 중국인이 월등히 많지만, 인구수 대비 사망률을 살펴보면 중국인보다 외국인에게 이 병이 더 치명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1877년 중국인 두창 사망자는 전체 중국인 인구수의 0.1%인데 외국인 사망자는 전체 외국인 인구수의 0.4%를 차지한다. 1925년에는 중국인 0.008%, 외국인 0.024%이다. 1930년에도 외국인 두창 환자 21명 중 사망자는 4명, 사망률은 19%로 매우 높았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31: 135). 이러한 높은 외국인 사망률은 조계 당국이 두창 예방에 발 벗고 나서게 한 중요한 원인이다.

2) 인두법에서 우두법으로

(1) 우두법의 소개와 인제의원

상하이에 우두법을 처음으로 알린 인물은 바로 의료선교사 윌리엄 록하트[7]이다. 그는 1843년 12월 23일 상하이 최초이자 전 중국을 통틀어 2번째 서양식 병원 인제의원(仁濟醫院)을 설립하였다. 병원에서는 설립 초부터 우두접종을 시행하고자 노력하였는데, 관련 내용이 1845년 보고서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 상해 병원 설립 이후 백신 접종을 소개하고자 노력하였다. 홍콩의 병원에서 보낸 우두묘(牛痘苗, lymph)와 마카오의 앤더슨(A. Anderson) 의사, 저우산(Chusan: 舟山)에서 마드라스(Madras) 군대를 담당하는 맥스웰(Maxwell) 의사의 친절한 도움을 받아 만든 두묘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시험하였다. 후자는 마드라스에서 중국으로 보낸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실패했다. 지난 4월 마카오에서 신선한 백신을 받아 기쁘게도 성공하였다. 이때 상하이의 중국 수비대 대령 How[혹은 Haw] Ta-jin은 그의 딸 중 한 명에게 백신 접종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마침내 How Ta-jin의 다른 자녀와 30명의 군인, 이웃 어린이들이 그의 집에서 예방 접종을 받았다. 20명이 넘는 어린이들이 병원에서 예방 접종을 받았다. 몇 달 안에 이러한 사실이 알려져 백신접종이 더 널리 채택되기를 고대한다(Parker, 1846: 22; Lockhart, 1861: 237-238).

하지만 그 후에도 우두법이 순조롭게 시행되지는 못했다. 1847년 보고서에서는 “지난 18개월 동안 예방 접종 사례는 20건이 채 안 된다. 작년 우두묘의 공급이 실패했고, 자녀에게 예방 접종을 맞춘 몇몇 사람들이 실망했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인은 외국인이 소개한 백신법보다 자신들의 인두법(Inoculation)에 더 자신이 있다. 캘러타의 외과의 스튜어트(Stewart) 박사, 런던의 로얄 백신 설립 관리자의 배려로 백신 공급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백신 접종의 이점이 중국인들 사이에 더 많이 알려져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지적하였다(Chinese Hospital, 1849: 14). 결국 우두법의 성공은 신선한 백신의 공급과 중국인의 인식 변화에 달려 있었다.
적어도 1856년에는 비교적 신선한 우두묘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 듯하다. 1856년 보고서에서는 쑤저우(蘇州) 출신의 중국인 의사에게 우두법을 가르치고 우두묘를 공급한 내용이 등장한다. 이 의사는 인제의원에서 백신접종법을 배운 후, 우두묘(lymph)와 란셋(lancet), 피어슨 의사가 쓴 우두법 소책자를 받아 갔다. 1856년 봄에는 쑤저우와 쑤저우 근교에서 800명이 넘는 어린이들에게 백신을 접종했다. 그런데 두창이 심각하게 유행하여 계층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이 백신 접종을 받고 싶어 하는데 우두묘가 여름 동안 더위때문에 쓸 수 없게 되자 다시 인제의원에 와서 신선한 우두묘를 요청하였다. 인제의원에서 우두묘를 공급받은 중국인 의사는 즉시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Chinese Hospital, 1857: 7-8).
즉 우두법을 널리 시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두묘의 공급 문제를 해결하고, 우두법에 대한 주민의 의구심을 없앨 필요가 있었다. 그러려면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했다. 1868년 에드워드 핸더슨(Edward Henderson)이 공부국 초대 의관으로 취임하면서 공부국은 우두접종이라는 주민의 신체와 습관에 직접 관련되는 영역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기 시작한다(Macpherson, 2002; 福士由紀, 2010 참고).
1869년 12월 30일, 핸더슨은 공부국 이사회에 종래의 인두법을 금지하고 우두법을 실시해야 한다고 건의하였다[8]. 그가 생각하기에 1868년 말부터 1870년까지 상하이에서 두창이 유행한 원인은 인두법에 있었다. 바로 ‘어떤 위생상의 조치도 없는 좁은 중국의 건축물 안’에서 접종했기 때문이다. 인두법은 두창 환자의 두묘를 사용하기 때문에 접종자에게 두창이 발병할 위험이 있다. 물론 제대로 접종이 된다면 전염성을 띠지 않는다. 하지만 만에 하나 전염성을 띠게 되면 ‘좁은 도로’와 ‘사람으로 꽉 찬 건축물’, ‘미비한 보건시설’이 두려운 결과를 낳을 수도 있었다. 그는 “중국인의 안전과 우리의 이익을 위해 지금이야말로 외국 조계지 내에서 [인두]접종을 금지할 날이 왔다고 믿는다.”면서 조계당국이 우두접종소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위생적으로 안전이 보장되는 장소에서 우두접종을 실시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우두접종소는 1. 거주민에게 무료로 우두접종을 실시하고 2. 신청한 사람을 등록하고, 거주민에게 어디에서 접종을 받을 수 있는지 알려주고 3. 개업의에게 정확한 접종법을 가르치고 4. 계속해서 우두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잘 준비해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핸더슨의 건의에 따라 공부국 이사회는 청조 지방관인 상하이 도대(上海道臺)에게 조계 내 구래의 접종법을 금지하도록 요청하고, 1870년 1월 10일에는 전통적 방식의 예방법을 모두 우두로 교체한다고 공포했다(陳佩·范關榮, 2010: 136). “만약 옛날 방식에 따라 두가를 코에 넣으면 비록 본인은 두창에 걸리지 않을지라도 접종받지 않은 다른 사람들을 전염시킬 것”이기 때문이다(Municipal Council Shanghai, 1908: 67-68).
이후에도 인제의원은 공부국과 협력하여 꾸준히 우두접종을 실시했다(喬登, 1936: 46). 다음은 1856년부터 1899년까지 인제의원 우두 접종 건수를 정리한 와 그래프이다[9].
<표 4>를 통해 인제의원의 우두 접종 건수가 1856년 378건에서 1895년 8344건까지 늘었다가 1898년을 기점으로 대폭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은 인제의원 분원에서 시행되었다. 예를 들면 공부국 보고서에서는 상하이 현성에 있는 우두접종소(인제의원 분원)에서 중국인 의사 황춘푸가 1895년 8345건, 1896년 적어도 7160건 정도 백신을 접종했다고 기록하였다. 위의 표와 비교하면 거의 같은 숫자이다(Municipal Council Shanghai, 1896: 96; 1897: 92). 즉,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으나 적어도 1895년부터 백신접종은 주로 인제의원 분원에서 했음을 알 수 있다.
엘리스톤(Elliston)의 자료에는 접종수가 1896년까지만 기록되어 있다. 저자는 1897년 이후에도 분명 많은 수의 우두접종이 있었을 테지만 기록이 없다고 지적하였다(Elliston, 1941: 28). 그런데 흥미롭게도 화계에서 백신접종에 종사하던 중국인 의사 황춘푸가 은퇴한 해가 바로 1897년이다. 즉, 황춘푸의 은퇴로 인해 인제의원 분원의 백신접종이 중지되면서, 인제의원의 전체 백신 접종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던 것이다. 이 사실은 공부국 보고서에 기록된 인제의원의 백신 접종 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공부국 보고서에 의하면 인제의원의 접종 수는 1898년 43건, 1899년 32건에 불과하다[10]. 동인의원(同仁醫院, St. Luke’s Hospital)에서 1898년 295건, 1899년 462건 시행한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숫자이다(Municipal Council Shanghai, 1899: 108; 1900: 98). 황춘푸가 병원을 떠나면서 인제의원의 백신접종에 대한 의지가 약해졌거나 백신접종을 전담할 인력이 마땅치 않았던 듯하다. 공부국 보고서에 따르면 황춘푸 이후 상하이 현성의 백신 접종은 동인의원에서 파견한 분(Boone)이 맡았다. 분은 상하이 현성에서 1898년 563건, 1899년 371건의 접종을 하였다(Municipal Council Shanghai, 1899: 108; 1900: 98).

(2) 화계의 우두접종과 중국인 의사

인제의원 초창기부터 영국인 의료선교사와 협력한 중국인으로 황춘푸를 들 수 있다. 본래 이름은 황두이(黃錞)이고 춘푸는 자(字)이다. 사료에는 “春圃”라고 하기도 하고 “春甫”라 하기도 한다[11]. 『상해의원술략(上海醫院述略)』에 의하면 그는 소년 시절 미국에 유학하여 영어에 통달한 인물이었다(王爾敏, 2006: 48). 1854년부터 인제의원의 일을 도왔고, 록하트와 벤자민 홉슨(Benjamin Hobson, 1816-1873)을 거쳐 제임스 핸더슨(James Henderson, 1829-1865)의 조수로 활약했다. 핸더슨은 황춘푸를 ‘나의 수석조교(My Chief Assistant)’라 부르며 신임했다. 또한 ‘그[황춘푸]는 모든 임무를 열심히 하고 매우 지적이며 환자들에게 친절하다. 중국어로 된 홉슨의 모든 의학서를 주의깊게 읽었다.’라고 평가했다. 가벼운 치료와 약 조제 업무를 맡았는데, 핸더슨에 의하면 ‘골절, 탈구, 총상, 절개된 상처의 치료에 있어 전문가라 부를만한 수준’이었고, ‘훌륭한 약제사’이기도 했다(Henderson, 1867: 80, 135, 170).
특히 록하트 때부터 쭉 화계의 우두접종은 전적으로 황춘푸의 손으로 이루어졌다. 그가 화계의 성황묘(城隍廟) 화원(花園)에 인제의원 분원이자 우두접종소를 설립한 것은 1850년의 일이다. 상하이 도대(道臺) 잉바오시(應寶時)의 후원으로 설립되었기 때문에 관립 종두국이라 불렸다. 황춘푸는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토요일은 화계의 우두접종소에 머무르면서 무료로 우두를 접종했다(Elliston, 1941: 7, 28; 黃春圃, 1869: 189). 중국인 주민에게 익숙한 장소에 우두접종소를 설치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전통적인 자선사업의 하나로 우두접종을 실시했다(王爾敏, 2006: 52).
황춘푸는 서양의학을 배우고 우두법을 추종하면서도 중국식 관념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다. 핸더슨은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
  • 그[황춘푸]는 해부학 실습을 하지 않더라도 훌륭한 외과 의사가 될 수 있겠지만, 중국인의 멍청한 편견 때문에 시체의 내부조차도 본 적이 없다. 나는 해부학 도판을 이용하여 그를 가르치려고 노력했으나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러나 그는 내 지시에 따라 사소한 수술은 잘 수행할 수 있다(Henderson, 1867: 80).

그렇다면 해부학을 받아들이지 못하던 그가 우두법은 비교적 쉽게 받아들인 이유는 무엇일까. 게다가 당시에는 여전히 많은 중국인 의사가 인두법을 시행하고, 많은 중국 어린아이들이 인두접종을 받고 있었다(Lockhart, 1861: 237-238). 오히려 인두법의 존재가 우두법을 받아들이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인두법과 우두법은 접종을 통해 가볍게 병을 앓음으로써 면역을 얻는 방식이라는 점에서는 같기 때문이다. 선행연구에서도 중국인은 면역이라는 개념에 이미 익숙했기 때문에 우두법을 비교적 수월히 받아들일 수 있었다고 지적하였다(梁其姿, 2012: 64). 해부학은 이에 반해 중국의 관념과 어울리지 않는 이질적인 학문이었다.
또한 황춘푸는 일찍이 세례를 받고 기독교 신자가 된 인물이다(王爾敏, 2006: 48). 그는 가족과 함께 미션계 병원에서 살면서 입주 의사이자 의료선교사의 조수, 약제사 역할을 맡아 성의를 다했고, 그의 형제 카이푸[Kieh-foo]는 병원의 중국인 목사로 선교를 열심히 하였다(Henderson, 1867: 80-81, 135, 170). 즉 기독교에 대한 믿음이 서양의학에 대한 믿음으로 이어졌고, 나아가 록하트로부터 우두법이 인두법보다 안전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우두법을 추종하게 된 것이다. 그는 1869년 4월 『중국교회신보(中國敎會新報)』에 쓴 기사에서 “우두는 서양에서 전래된 것으로, 이 법은 가장 좋고 확실하다(牛痘傳自西國, 其法最善而穩)”라며 우두법을 극찬했다. “우두는 맞자마자 곧 증세가 나타나고, 매우 온당하여 발진도 매우 적고 발진이 많더라도 세 개를 넘지 않는다(牛痘則隨種隨出無不穩當, 所種極少, 至多不過三顆)”는 것이다(黃春圃, 1869: 189). 즉 우두법은 접종을 받은 아이의 고통이 인두법보다 덜하고, 부모의 걱정도 덜어준다는 장점이 있었다.
황춘푸는 1854년부터 1897년까지 43년간 인제병원에서 근무하면서 화계의 우두접종소를 관리하고 우두법을 널리 소개했다. 또한 우두법을 많은 학생과 간호사에게 가르쳤다(Elliston, 1941: 16). 그 결과 황춘푸의 명성은 상하이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까지 널리 퍼졌다. 1897년 황춘푸가 은퇴한 후에도 화계의 우두접종소는 여전히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907년 공부국 보고서에 따르면 접종소 중 가장 인기 있는 곳은 상하이 현성 성황묘(城隍廟)에 설치한 접종소이고 2위가 위생처, 3위는 동인의원, 4위와 5위는 중국인 의사와 천단(天壇)이었다(Municipal Council Shanghai, 1908: 78). 역시나 중국인들이 자주 모이는 성황묘나 천단에 우두접종소를 설치하여 접근성을 높였음을 알 수 있다.

3. 조계 당국의 관여

1) 우두접종소의 운영과 무료접종 현황

1870년 상하이 도대가 인두법을 금지한 것을 기점으로 지금이야말로 우두 접종소를 설립해야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12]. 우두 접종이야말로 위생처(Health office)의 가장 기초적인 사업이며 두창의 실제 감소는 조직의 효율을 보여주는 지표였기 때문이다[13]. 그러나 1898년-1899년 공부국 보고서에 따르면 이 시기에도 백신접종은 여전히 동인의원이나 인제의원과 같은 민간 병원 중심이었다. 다만 공부국에서 백신을 제공하고 병원에서 시행하는 형태였다(Municipal Council Shanghai, 1899: 108; 1900: 98). 이후 적어도 1900년대부터는 위생처를 중심으로 우두 접종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표 5>는 공부국 연례보고서를 참고하여 1903년부터 1930년까지 위생처에서 시행한 우두 접종 건수를 정리한 것이다[14].
1904년 이래 1921년까지 무료 접종 건수는 200,000건에 가까웠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88A). 그리고 1916년에서 1921년의 5년 사이에 무료 접종 건수는 2배가 넘게 증가하였다. 다만 접종 건수가 눈에 띄게 줄어든 해도 있다. 예를 들면 1918년에는 접종 건수가 26,315건에 이르렀으나, 1919년과 1920년에는 15,087건, 14,981건으로 크게 수가 줄었다. 1919년과 1920년 두창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자 사람들이 안전불감증에 빠진 탓이다. 중국인도 외국인도 두창이 유행하지 않으면 백신 접종에 금세 소홀해졌고, 이는 다시 두창이 유행하는 결과를 낳았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99A). 이는 결국 2장 1절의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1921년 두창 사망자가 다시 늘어나는 결과로 나타났다. 사망자가 발생한 후 다시 접종건수도 늘어났다. 한편 1930년 두창 접종자 중 중국인은 53,786명, 외국인은 405명이었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31: 173). 전체 인구 중 중국인은 5.5%가, 외국인은 1.1%가 접종을 받은 셈으로, 외국인이 백신 접종을 등한시하는 풍조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
공공조계에서는 주민들이 빠짐없이 백신 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중앙·북·동·서의 네 지구에 각각 위생지부를 설치하였다. 1915년 공부국에서 관리하는 우두접종소는 동(東)지구 위생분국(Sub-District Office) 4곳과 양수푸로(楊樹浦路)의 2곳, 북(北)지구 위생분국 5곳, 중앙(中央)지구 위생분국 4곳, 서(西)지구 위생분국 3곳, 공부국 감옥(Municipal Gaol), 인도경찰병원(Indian Police Hospital), 중국경찰병원(Chinese Police Hospital) 등이 있었다. 접종건수는 동(東)지구 2,693건, 북지구 4,329건, 중앙지구 3,844건, 서지구 3,486건, 공부국 감옥 1,806건, 인도경찰병원 580건, 중국경찰병원 1,291건으로 총 18,029건이었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16: 74A-75A). 1921년에는 동지구에서 6,741건, 북지구에서 8,072건, 중앙지구에서 4,505건, 서지구에서 9,120건, 공부국 감옥 3,006건, 인도경찰병원 1,051건, 중국경찰병원 1,467건, 총 33,962건의 접종이 있었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99A).
표 6[15]에서 알 수 있듯이 1929년에는 동지구 5곳, 북지구 4곳, 중앙지구 3곳, 서지구 4곳, 총 16개의 위생지부(Branch Health Offices)에서 58,213건의 무료접종을 시행했다. 위생지부를 포함하여 위생처 직원이 시행한 무료접종 건수는 72,790건에 달한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30: 113, 156). 인구수가 가장 많은 동지구에 가장 많은 위생지부를 설치하고, 인구수가 가장 적은 중앙지구에 가장 적은 숫자의 위생지부를 운영했다. 또한 인구수가 많으면 백신 접종 건수도 많고, 인구수가 적으면 백신 접종 건수도 적었다.
한편 접종을 확대하는 데 있어 가장 간편한 방식은 감옥에 갇힌 죄수들에게 강제접종, 경찰과 간수, 공부국 직원들에게 의무접종을 하는 것이었다. 1915년 형무소 병원(Gaol Hospital)의 접종건수는 총 1,745건이었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16: 75A). 감옥과 같이 막힌 곳에서 두창이 발병하면 매우 위험하므로 백신 접종에 더 심혈을 기울였다. 감옥에 수용된 인원이 총 2,642명이었으므로 약 66%가 접종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공부국 감옥에는 매일 5-6명에서 30-40명의 새로운 죄수가 들어오는데, 이들은 제일 먼저 신체검사를 받는다. 병에 걸린 죄수는 다른 죄수에게 병을 전염시킬 수 없게 격리된다(池田桃川, 1923: 277-283). 여성 감옥에서는 모든 여성이 백신을 맞은 후 열흘간 격리되었다가 감옥으로 돌아갔다. 1921년 공부국 보고서에 의하면 여성 감옥에 수감된 모든 사람에게 백신을 접종한 덕분에 두창 환자는 발생하지 않았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57A). 또한 인도경찰병원과 중국경찰병원에서도 접종을 했다. 1915년에는 인도경찰병원에서 580건, 중국경찰 병원에서 1,291건의 접종이 확인된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16: 90A, 92A). 1916년에는 인도경찰병원 28건, 중국경찰병원 242건, 1929년에는 인도경찰병원 1,192건, 중국경찰병원 4,662건이었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17: 81A; Shanghai Municipal Council, 1930: 149).
무료접종을 알리기 위한 선전과 광고도 활발했다. 그림 1은 1906년 공부위생국(工部衛生局)의 광고전단으로, “현재 우두를 접종하고 있으니 접종받기를 원하는 사람은 쓰마로(四馬路) 순포방(巡捕房) 구화회(救火會) 뒤편에 있는 제1호 양방(洋房)의 본국 의관에게 우두를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 그림 2처럼 다양한 언어로 무료접종을 홍보하기도 했다.
또한 상하이의 일일신문 『신보(申報)』에는 중국인과 가난한 외국인이 무료접종을 받을 수 있는 주소가 실리곤 했다. 1927년 『신보(申報)』에 의하면 중국인은 중구 한커우로(漢口路) 23호에서 매일 2시부터 4시까지, 의사청(議事廳)에서 월·목 2시부터 4시까지, 북구 야루로(鴨綠路) 48호, 북쓰촨로(北四川路) 190호, 치푸로(七浦路) 100호에서 화·금 2시부터 4시까지, 동구 송반로(松板路) 2호, 양저우로(楊州路) 40호, 화더로(華德路) 57호, 동서 화더로 428호, 퉁저우로(通州路) 10호에서는 월·목 2시부터 4시까지, 서구 아이원이로(愛文義路) 59호, 마이건로(麥根路) 28호, 징안사로(靜安寺路) 28호, 징안사로 1152호에서는 매주 금요일 2시부터 4시까지 받을 수 있었다. 서양인의 경우에는 중구 한커우로 23호에서 매일 오후 4시부터 5시(주말 제외), 북구 야루로 48호, 북쓰촨로 190호에서는 화·금 오후 4시부터 5시, 동구 화더로 57호, 서화더로(西華德路) 428호에서는 월·목 오후 4시부터 5시, 서구 마이건로 28호에서 금요일 오후 4시부터 5시까지 무료접종을 실시했다[16]. 중국인과 외국인의 접종 장소나 방문 시간을 다르게 하여 중국인과 외국인이 서로 만나지 않게 하였다.
이처럼 공부국의 주도하에 체계적으로 우두접종이 실시된 조계와는 달리, 화계는 1900년대 초에도 여전히 성황묘 우두접종소를 중심으로 접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우선 조계는 외국인 거주지로 외국 정부의 영향력이 강했고, 외국인 의사들은 우두법의 필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었던 반면, 화계는 중국인 거주지로 여전히 청나라의 전통적 지배체제 아래에 놓여있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이는 서구화되어 가는 조계와 전통이 남아있는 화계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조계의 급속한 인구증가도 큰 원인이 되었다. 1917년 위생보고서에서는 “상하이는 두창을 절멸시킨 첫 번째 도시가 될 것이다.……하지만 다른 도시들이 아직 두창으로 고통 받고 있는 상황에서 두창에서 자유로워졌다는 사실에 자만하면 몇 년 안에 예방접종에 소홀하게 될 우려가 있다.”고 하였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17: 55A). 즉 상하이에서 아무리 무료접종을 시행하고 두창 억제를 위해 노력해도 접종받지 않은 외지인들이 계속 유입되면 소용이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계 당국은 우두접종에 더 심혈을 기울일 수밖에 없었다.

2) 우두묘의 생산과 공급

당연하게도 우두묘가 없으면 백신접종 자체가 불가능하다. 또한 두창이 만연한 상황에서는 계속해서 주기적으로 백신을 접종받아야 했다. 따라서 우두묘의 안정적 공급은 매우 중요했다. 초기에는 수입에 의존하다 보니 공급이 불안정하였다. 1871년 11월 23일 공부국에서는 영국에 우두묘를 대량으로 요청하기로 결의하면서, 임시방편으로 일본이나 홍콩의 해군의에게 우두묘를 제공해줄 수 있는지 문의하기로 한다[17]. 홍콩이나 일본에서 우두묘를 사오지는 못했지만[18], 다행히 런던에서 공급받을 수 있었다[19].
유럽이나 미국처럼 상하이의 소에 우두묘를 배양하자는 제안도 있었다. 1883년 공부국 위생관은 양질의 우두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우두묘를 상하이에서 직접 배양하거나, 혹은 일정 기간마다 영국에서 우두묘를 수입해서 저장해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부국 이사회에서는 우두묘를 직접 배양하기는 어렵다고 보고 대신 위생관이 필요로 하는 백신을 미리 준비해둘 수 있도록 필요한 비용을 주기로 하였다[20].
하지만 두창이 유행할 때마다 무료로 제공하다 보니 결국 백신이 부족해져 1893년 백신제조를 위한 시설을 설립할 계획을 세운다. 1896년 10월에는 백신 제조를 위한 임시 시설을 지었다. 지역 화학자들이 도매가격으로 백신을 공급하였는데 공제의원(公濟醫院, General Hospital), 한버리 홈(漢璧禮蒙養學堂, Hanbury Home), 인제의원(Native Hospital)에는 무료로 제공하였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897: 91). 이 시기 인제의원 본원과 분원에서 백신 접종을 담당한 인물이 바로 황춘푸이다.
마침내 1898년 새로운 위생관 아서 스탠리의 주도하에 위생처(Public Health Department)의 설립과 함께 위생처 실험실(Municipal Laboratory)의 일부분으로 우두제조소(Shanghai Vaccine Station)가 마련된다(福士由紀, 2010: 50; 羅振宇, 2016: 113). 장소는 스콧 로드(Scott Road)에 있는 격리병원 부지였다(Municipal Council Shanghai, 1899: 167).
다음 표는 1898년부터 1930년까지 우두제조소에서 만든 글리세린으로 처리한 백신 튜브의 수를 정리한 것이다.
1898년 10월 다섯 마리의 버팔로 송아지와 네 마리의 외국 송아지가 접종을 받았는데, 2주마다 한 번씩 송아지에게 접종하여 백신을 유지하기로 하였다[21]. 1899년 1월에는 세 마리의 송아지가 백신을 맞았고 106개의 큰 튜브와 215개의 작은 튜브를 공급할 수 있었다. 백신 접종 성공률은 91%에 달한다[22]. 더위 때문에 백신 수요가 줄어드는 6월에는 한 마리의 송아지에게 백신을 접종했고 24개의 큰 튜브와 120개의 작은 튜브를 생산할 수 있었다[23].
공부국 보고서에 의하면 작은 튜브에는 1번, 큰 튜브에는 총 5번 접종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백신이 담겨 있었다. 1899년에는 약 5000개의 튜브를 생산하여 14,000명을 두창에서 구할 수 있었다. 튜브에 붙은 라벨에는 「Shanghai Vaccine Station」이라고 적었다. 그리고 검사실의 발행일과 백신을 생산한 송아지의 번호를 기록하여 문제가 생겼을 경우 출처를 알 수 있게 하였다. 튜브는 보관이 잘 되었을 경우 발행일부터 한 달까지 쓸 수 있었다. 빛과 열은 백신을 파괴하므로 신선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두운 곳, 더울 때는 얼음 속에 보관하도록 한다(Municipal Council Shanghai, 1899: 105). 이후 라벨의 문구는 「Shanghai Municipal Laboratory」로 바뀌었고, 사후 검사로 건강함이 증명된 송아지에게서 백신을 얻어 발송 전 순도와 활성을 실험하였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112A; 陳榮廣, 1919: 180).
실험실에서는 중국의 자선기관에 무료로 대량의 백신을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아직 우두를 제조하지 못하는 다른 지역에까지 백신을 공급하였다(彭善民, 2007: 57-58; Shanghai Municipal Council, 1900: 98). 실험실에서 직접 백신을 제조하면서 공급이 원활해진 덕분에 공부국에서는 3장 1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무료 백신접종을 계속할 수 있었다.

3) 접종의 효과와 한계

근대 상하이는 온갖 전염병의 온상이었다. 두창 외에도 콜레라, 장티푸스, 결핵, 성홍열, 디프테리아 등 다양한 전염병이 주민의 건강을 위협했다. 선행연구에서 정리한 표에 따르면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가 제일 많았는데, 두창의 적게는 2배, 많게는 10배나 되었다(福士由紀, 2010: 7-8). 그런데 조계당국은 다른 무엇보다도 백신접종을 중시했다. 다른 전염병과 달리 두창은 백신접종을 통해 사전에 막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공부국 위생관으로 활동한 아서 스탠리(Arthur Stanley)[24]는 다음과 같이 무료접종의 효과를 소개했다.
  • 상하이는 공부국 실험실(Municipal Laboratory)의 주요 제품으로 백신을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의사에게 진료비를 내지 못하는 사람은 보건소에서 무료로 예방 접종을 받을 수 있다. 외국인들은 백신의 이점을 무시하기 어렵지만, 중국인들도 예방 접종의 이점을 알기 시작했다는 점은 만족스럽다. 25년 안에 상하이는 백신 접종이 잘 된 도시가 될 것이고, 두창 사례는(1907년 28명의 외국 사망자와 863명의 중국인 사망자가 발생했다) 영국의 큰 도시보다도 적다[25].

1915년 공부국 위생 보고서도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두창을 막을 수 있는 무료접종을 가장 뛰어난 방역책으로 꼽았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16: 65A). 이어서 1916년 공부국 보고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무료접종에 드는 비용을 예로 들어 백신접종의 이점을 설명하였다.
  • 위생처는 올해 14,426건의 무료접종을 했고 그중 10,500건은 어린이이다. 어린이 절반 정도가 두창에 감염되지 않았거나 면역을 얻었다. 대략 어린이 5,250명을 두창으로부터 지켰다는 의미이고 이 병의 사망률이 약 30%이므로, 결론적으로 1,575명을 구한 것이다. 예방접종에 약 2,000테일(Tls)이 들었으니 비용과 비교해 소득은 얼마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적어도 0.5테일 당 한 건의 두창을 예방한 셈이고 0.25테일 당 한 명의 생명을 살린 셈이다. 중국에서 백신접종만큼 저비용으로 높은 배당금을 얻을 수 있는 투자는 없다.……지역사회는 지난 9년간 6천 건의 무료접종으로 면역을 얻었다. 이러한 위생처의 활동이 무료접종을 하는 자선단체들 사이의 경쟁을 자극하고 있음은 만족할 만한 결과이다. 두창 예방접종은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어 위생처의 작업에 대해 대중들은 최근 신뢰하고 있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17: 55A).

즉 백신접종은 비용은 적게 들면서 간단하고 효과는 확실한 방역책이었다. 이는 두창 환자 대부분이 백신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이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1910년 12월 두창이 외국인 거류지 전체에 급속히 퍼져 외국인 11명의 입원이 확인되었는데, 최근 3년 이내 백신접종을 받은 사람 중에는 환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보고서에서는 “유아기에 접종을 받고 이후에 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이 두 명 사망하고 접종을 받지 않은 한 명이 사망하였다.”고 하였다[26].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의 치사율은 매우 높아서 5살 이하는 50%, 10-20세는 25%, 30세 이상은 50%, 60세 이상은 80%에 이르렀다[27].
하지만 우두접종이 절대적으로 완벽하지는 않았다. 백신접종을 받더라도 두창에 걸리는 경우도 없지 않았다. 게다가 두창을 한 번 막았다고 해서 두 번째 이후도 막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었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89A, 100A). 따라서 재접종률도 매우 중요했다. 1892년 공부국 위생관(Health Officer)은 모두의 건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재접종 규칙에 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모든 유아, 어린아이, 어른은 백신 접종 후 제대로 된 흔적이 남지 않거나 접종이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 재접종을 받아야 한다. 또 아이들은 7살이 되면 재접종을 받아야 한다. 두창이 유행하는 동안 재접종을 원하는 사람은 재접종을 받을 수 있다. 위생관은 이전에는 7년마다 재접종을 하면 된다고 했지만, 7년으로 괜찮을지 알 수 없으므로 5년으로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893: 98-99). 재접종 기간은 1903년까지 5년을 유지하다가 적어도 1905년부터는 3년이 되었다[28]. 7년마다 실시하도록 했던 재접종 기간이 5년에서 다시 3년으로 줄어들었다는 점은 재접종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4. 종두를 둘러싼 다양한 시각과 문화의 영향력

1) 뿌리 깊은 인두법

1843년, 록하트는 중국 의사가 쓴 인두법에 관한 짧은 논문을 영어로 번역하여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바로 “인두 접종과 영유아 보호에 관한 짧은 논문(A Short Treatise on the Preservation of Infants by Inoculation)”이다(Lockhart, 1843: 41-54; Lockhart, 1861: 238-241). 우두법을 알리려면 일단 중국인들이 신뢰하는 인두법에 대해 알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록하트는 이 책을 통해 중국의 두창과 인두법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었다. 중국인은 두창 발병의 원인을 자궁에 있을 때 모체로부터 받은 독으로 본다. 이 독이 숨어있다가 열과 같은 외부의 원인에 의해 발현된다는 것이다. 만약 자연적으로 발병하면 매우 심각하고 치명적인 병이 되지만, 인두접종을 통해 발현하면 일반적으로 경미한 증세만으로 끝나고, 사상자는 만 건에 한 명 정도이다. 흥미로운 점은 인두접종으로 독이 나오게 하려면 코로 인두를 들이마셔야 한다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코는 폐의 외부 구멍이다. 여러 두묘가 코에 있을 때 그 영향은 먼저 폐로 전달된다. 폐가 모발과 피부를 통제하고, 폐는 독을 심장으로 옮긴다. 심장이 맥박을 조절하고 독을 비장에 옮긴다. 비장이 살을 통제하고 독을 간으로 옮긴다. 간은 힘줄을 지배하고 독을 신장으로 옮깁니다. 신장이 뼈를 통제한다. 두창의 독은 원래 뼈의 골수에 숨겨져 있다. 그러나 인두접종의 영향을 받아 스스로를 드러내 외부로 나온다(Lockhart, 1843: 41-54).

이처럼 두창 환자의 말린 딱지를 가루로 만들어 코에 집어넣는 방식으로 숨어있는 두창의 독을 끄집어내 제거해야 한다고 생각한 중국인에게 팔을 째고 두창균을 집어넣는 우두법은 효과가 없어 보였을 것이다. 또한 음력 11일은 사람의 정신(혹은 영적 본질)이 코의 격막이나 기둥에 있으므로 접종을 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도 있다. 이는 코를 이용하는 인두법에만 해당되는 금기로, 우두 접종의 경우에는 신경 쓸 필요가 없었다.
저자는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서문을 마무리 지었다. “이처럼 훌륭한 계획[인두 접종]을 버리고 재난을 기다리는 일은 비난받아 마땅하다.…… 아이가 있는 모든 사람은 이를 믿어야 한다. 그래서 아이들의 삶을 지킬 수 있도록.”(Lockhart, 1843: 238-239). 록하트는 이 책을 통해 인두법에 대한 중국인 의사의 강한 믿음을 보았다. 이는 중국인이 우두법도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음을 의미했다. 이미 면역이라는 개념을 알고 있었기에 우두법에도 큰 위화감을 느끼지 않았던 것이다(梁其姿, 2012: 64).
게다가 이 책은 중국인에게 우두법을 시행할 때 어떤 부분을 주의해야 할지도 알려주었다. 총 10가지의 규칙이 기록되어 있는데(Lockhart, 1843: 43-51), 예를 들면 인두접종은 1월, 2월, 3월, 8월, 9월, 10월이 제일 좋고, 너무 덥거나 추울 때는 안 하는 게 좋다. 특히 5-6월의 접종은 절대로 성공하지 못한다고 지적하였다. 실제로 여름에는 접종을 받으러 오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우두 접종의 경우에도 더우면 백신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름에 사람들이 접종소에 오지 않는 건 크게 걱정할 문제는 아니었다. 예를 들면 1870년 핸더슨은 다음과 같이 보고하였다.
  • 연일의 더위 때문에 지금까지 우두를 접종받은 사람은 한 명도 없다. 추운 계절이 오기 전이기 때문에 중국인은 아이들을 접종에 데려오는 것을 완고하게 거부한다. 그들은 여전히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지만 우리는 별로 실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여름에 하는 접종이 성공할지는 단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29].

이에 대해 스탠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따뜻한 날씨에 백신을 사용할 때는 백신이 매우 민감할 수도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57℃의 온도에서는 백신이 5분 만에 불활성으로 변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여름에는 37℃도까지 자주 올라가는데 백신은 이 경우 24시간 만에 불활성이 된다. 한편 5℃이하에서 보관하면 1년까지도 변화가 없다. 그러므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따뜻할 때 백신 접종을 하면 활성을 금세 잃을 수 있으므로 중국에서는 추천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이 시기 두창 백신 접종은 효과적이라 보증할 수 없다. 예방 접종에 가장 좋은 시기는 의심의 여지 없이 두창이 유행하기 전, 초겨울이다[30].

즉 상하이의 여름은 기온이 높아 백신이 상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스탠리는 백신을 접종하기 가장 좋은 시기로 두창이 유행하기 전 초겨울을 들었다[31]. 정확히는 11월초이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99A).
하지만 인두법에 익숙한 중국인들은 봄에 접종을 받고 싶어 했다. 그리고 여름과 가을에는 두창 유행을 우려하여 우두접종을 잘 받지 않았다. 창샤(長沙)에서 활동한 의료선교사 에드워드 흄(Edward H. Home)은,
  • 거의 모든 관측통이 두창은 매년 크리스마스 이후 유행병 형태로 존재한다고 보고한다. 하지만 아직도 가을에 예방 접종에 의지하도록 중국인을 설득하기는 어렵다. 중국인은 오래전부터 봄에 예방 접종을 해야 한다고 믿었고, 예방 접종에 대한 요청은 거의 항상 봄에 있다[32].

라고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3월이 가장 좋다고 여기는데 그중에서도 3월 6일은 길일(吉日)이라 하여 갓난아기를 데리고 접종을 받으러 오는 사람들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이어졌다[33]. 인두를 접종받더라도 큰 위험 없이 면역을 얻을 수 있으려면 아무래도 좋은 기운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1930년 공부국 연례보고서에 기록된 월별 우두접종건수(표 8)를 보면 이러한 관념이 여전히 강하게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10월에서 5월까지 접종건수가 고르게 분포한 외국인과 달리 중국인은 3월에 접종을 받는 경우가 압도적이었다. 6월부터 9월까지 더운 여름에는 중국인이나 외국인 모두 거의 접종을 받지 않았다. 보고서에서는 많은 중국인 어린아이들이 더 빠른 시기에 접종을 받아야 함에도 그러지 못하고 있지만, 이러한 전통의 힘은 교육을 통해 약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30: 156).
그러나 인두법이 완전히 사라지는 일은 없었다. 1921년 위생보고서에서는 “한 명 혹은 그 이상의 닝보(寧波) 개업의가 진짜 두창의 씨앗(seed)를 아기들의 콧속에 넣는다. ……인두법(inoculation)은 두창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계획적으로 두창을 더 유행시킨다”고 기록하였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99A.) 결국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도 인두법은 중국 각지에서 상당히 시행되었으며, 대략 1949년 이후가 되어서야 정부 주도하에 우두법이 전면적으로 확대된다(馬伯英·高晞·洪中立, 1993: 323).

2) 관습과 편견의 영향력

전통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방식인 우두법을 알리기도 했다. 무료접종을 받으면 돈을 주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잉바오시는 1868년부터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아이가 접종을 받으면 그 부모에게 백은(白銀) 300문(文)을 주었다[34]. 이에 돈을 바라고 아이들을 접종시키는 부모들이 늘었다. 사실 그에게는 다른 의도가 있었다. 황춘푸가 아들이 없는 그에게 우두 접종과 같은 좋은 사업을 도우면 아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권유했던 것이다. 그 말을 듣고 잉바오시는 성황묘 근처의 정박공회(停泊工會)를 접수하여 우두접종소로 쓰도록 하고, 우두접종을 받는 아이의 부모에게 돈을 주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실제로 아들을 얻었다(Elliston, 1941: 28; 陳佩·范關榮, 2010: 136). 관원이 자선사업을 지원하고 그 결과 개인적인 복록을 얻었다는 이 이야기는 우두접종이 전통적인 선거(善擧)의 일부로 여겨졌음을 보여준다. 공부국에서도 이러한 방식이 접종을 선전하는데 큰 효과를 보였다면서 인제의원이 실로 공이 크다고 평가하였다(喬登, 1936: 46). 결국 공부국에서도 우두접종을 자율적으로 받는 아이들에게 돈을 주기로 한다. 그러자 1871년 180명에서 동전을 주기 시작한 1873년에는 488명으로 접종자가 크게 늘었다(福士由紀, 2015: 38).
그러나 중국인의 외국인에 대한 불신과 편견은 불쑥불쑥 튀어나와 우두법의 확대를 방해했다. 1903년 공공위생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같은 시기 현수막을 이용한 홍보와 위생 검사원의 설득으로 하루 약 500명의 아기가 보건소에서 백신 접종을 받았지만, 어느 날 눈을 적출한다는 소문이 나서 아기들이 더는 오지 않았다고 한다[35]. 강제로 우두를 접종시킨다는 소문이 돌아 공부국이 사실이 아니라 발표하기도 했다[36].
폭력 사태로까지 발전하는 예도 있었다. 1910년 11월에는 페스트 검역 조치의 하나로 공부국 위생처가 호별 검사를 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조계 내의 여성들은 검사를 피하고자 아이들을 데리고 조계 밖으로 피했다. 또한 페스트 조사와 함께 어린아이의 우두접종 유무를 조사하고 있던 공부국의 의사, 도로의 쓰레기 조사를 하던 공부국 직원이 민중에게 둘러싸여 공무집행을 방해받는 사건도 발생했다(福士由紀, 2010: 58). 1923년에는 경영진이 백신 접종을 시키려 한다는 소문이 돌아 공장(Dah Kung Cotton Mill: 大康紗廣)에서 일하던 천여 명의 노동자가 파업하기도 했다. 그중 700명은 근거 없는 소문임을 알고 금방 일에 복귀하였다[37].
중국인만 문제인 것은 아니었다. 1858년 중국에 건너와 상하이에서 활동한 프랑스 의사 갈레(Galle)는 외국인 공동체에서는 백신접종이 잘 이루어졌으며 두창이 외국인에게는 거의 위협적이지 않았다고 기록하였다(Macpherson, 2002: 65-66). 하지만 외국인 거주자가 늘면서 문제가 생겼다. 1903년 공공 위생 보고서에 따르면 외국인 중에는 전염병이 유행할 때 적절한 예방조치를 할 생각은 하지 않고 약 판매상들이 선전하는 ‘콜레라 예방약(anti-cholera mixtures)’에 현혹되는 자가 적지 않았다[38]. 1907년 아서 스탠리는 “두창은 가장 예방이 수월한 전염병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외국인 커뮤니티에서는 백신 접종을 무시하여 사망하는 사람이 나온다.”며 한탄하였다[39]. 실제로 이 해 격리병원에 입원한 외국인 환자를 살펴보면 다른 어떤 질병보다 두창 환자가 많았다. 두창으로 입원한 외국인은 83명으로 그중 21명이 사망하였다. 두 번째는 성홍열(Scarlet Fever)로 총 70명 입원, 12명이 사망했다. 중국인의 경우 가장 많은 환자가 입원한 병은 임질(Gonorrhoea)로 총 243명이 입원했고 사망자는 없었다. 사망자가 가장 많은 병은 165명 중 56명이 사망한 콜레라였다. 두창으로 인한 중국인 환자 수는 질병으로 인한 사망원인 중 6위를 차지하는데 33명이 입원했고 10명이 사망하였다(Wright, 1908: 435).
따라서 조계당국은 외국인에게 상하이에 도착하면 백신 접종을 받고, 적어도 3년마다 반복해서 접종을 받도록 하였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16: 67A). 1922년 공부국 보고서에서도 중국 이곳저곳에서 이미 백신접종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외국인 직원을 데리고 올 경우에는 꼭 출항 전에 백신접종을 해야 한다고 권고하였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99A). 하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1921년 12월부터 1922년 4월 사이에 두창이 유행하여 외국인 18명과 중국인 230명이 사망하였는데, 외국인 사망자를 전수 조사한 결과 사망 원인은 백신을 맞지 않거나 재접종을 하지 않아서였다[40]. 외국인 75%만이 예방접종을 받았고 20%는 받지 않았으며 5%는 최근 10년간 접종을 받지 않았기 때문이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88A). 1921년 한 해 동안 두창으로 사망한 외국인 수는 조계 주민 23명(어린아이 11명 포함), 조계 주민이 아닌 외국인까지 더하면 전체 41명이었다. 조계 주민 중 두창 환자가 84명, 사망자가 23명이므로 치사율 20%정도로 매우 위험하였다. 질병으로 인한 사망원인 중 3위를 차지한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94-95A, 98A). 따라서 우두접종소에서는 중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을 위한 무료 접종에도 신경을 쓸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5. 결론

근대 상하이에서 두창은 치사율 30%에 이르는 가장 위협적인 질병 중 하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백신접종으로 충분히 막을 수 있는, 비교적 방역책이 확실한 전염병이기도 했다. 두창 백신접종인 종두법에는 인두법과 우두법이 있는데, 각기 장단점이 있으나 인두법보다 우두법이 더 간단하고 안전하다고 여겨졌다. 따라서 서양에서 건너온 의료선교사들은 전통적인 중국식 인두법 대신 제너가 개발한 우두법을 알리고자 노력했다. 현재 상하이교통대학 의학부 부속 종합병원으로 유명한 인제의원은 1844년 영국인 의료선교사 윌리엄 록하트가 세운 자그마한 진료소에서 시작했다. 그는 상하이에서 최초로 우두접종을 실시한 인물이기도 하다. 마카오에서 들여온 신선한 우두묘를 사용하여 1845년 우두접종에 성공한 것이다.
한편 화계에서 우두접종을 주도한 인물은 바로 인제의원의 중국인 의사 황춘푸이다. 1850년 상하이 도대의 지원을 받아 화계의 성황묘에 인제의원 분원을 설립하고, 무료로 우두를 접종하여 우두법이 확대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황춘푸와 같은 중국의 지식인들은 인두법을 통해 이미 면역이라는 개념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같은 원리인 우두법을 수월하게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그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는데, 기독교에 대한 믿음이 서양의학에 대한 믿음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황춘푸는 인두보다 우두가 더 안전하며 맞는 사람의 고통도 덜하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었다.
우두법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했다. 1869년 공부국 의관 에드워드 핸더슨은 공부국 이사회에 종래의 인두법을 금지하고 우두법을 시행해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인두법은 다른 사람에게 두창을 전염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안전이 보장되는 장소에서 우두를 접종하기 위해 우두접종소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의료위생 전반을 담당하는 공부국 위생처에서는 각 지구별로 우두접종소를 운영하는 한편, 병원이나 진료소뿐만 아니라 감옥에서도 백신접종을 시행했다. 또한 중국인들이 자주 모이는 성황묘나 천단에 우두접종소를 설치하여 접근성을 높였다.
이 과정에서 조계지의 주민들은 근대화된 도시위생체제의 이점을 충분히 누렸다. 공공조계에서는 공부국 위생처 실험실 내에 우두제조소를 설립하여 직접 백신을 생산함으로써 무료접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실험실에서는 중국의 자선기관에 무료로 대량의 백신을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아직 우두제조소가 갖춰지지 않은 다른 지역에까지 백신을 공급하였다.
한편 공부국의 주도하에 체계적인 우두접종이 실시된 조계와는 달리, 화계는 1900년대 초에도 여전히 성황묘 우두접종소와 같은 자선기관 중심으로 접종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차이는 조계와 화계로 나뉜 상하이의 특수한 정치적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외국인 거주지인 조계는 외국 정부의 영향력이 강했고, 외국인 의사들은 우두법의 필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화계는 중국인 거주지로 여전히 청나라의 전통적 지배체제 아래에 놓여있었다. 한편으로 백신을 접종받지 않은 사람들이 계속해서 조계로 밀려들었기 때문에 조계 당국은 우두접종에 더 심혈을 기울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우두법이 소개된 후에도 인두법은 사라지지 않았다. 오래된 관념은 여전히 중국인들 마음속에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백신을 가장 접종하기 좋은 시기는 두창이 유행하기 전인 초겨울이지만, 중국인들은 인두접종을 받을 때처럼 봄에 주로 접종을 신청하고 여름과 가을은 피했다. 역으로 전통적인 방식을 영리하게 이용하여 우두접종을 확대하는 모습도 보인다. 예를 들면 상하이 도대 잉바오시는 우두접종을 선거의 일환으로 여겨, 우두법의 확대를 위해 부모에게 돈을 주고 아이에게 우두접종을 받게 하였다. 즉 공부국 주도하에 인두법을 금지하고 우두법 일원화를 추진하던 조계와는 달리 화계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이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었다.
한편 이제까지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중국인을 위생조치의 대상으로 파악하고 외국인의 위생문제에 대해서는 크게 염두에 두지 않았다. 하지만 실제로는 외국인 중에도 백신을 무시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에 조계 당국은 중국인 외국인, 부자와 가난한 자를 가리지 않고 광범위한 무료 백신접종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위생체계를 확립하고자 했다.

Notes

1) 천연두(天然痘), 천화(天花), 마마(媽媽)라고도 부른다.

2) 1749년 편찬된 종두법 전문서 『의종금감(醫宗金鑑)』에서는 인두법으로 두의법(痘依法), 두장법(豆漿法), 한묘법(旱苗法), 수묘법(水苗法)을 소개하면서 수묘법이 가장 좋고 다음이 두장법이라고 하였다. 수묘법은 물에 가루로 만든 두창 딱지(두가, 痘痂)를 섞은 후 그 물을 묻힌 천을 코에 넣는다. 한묘법은 두가를 가루로 만들어 관을 통해 콧속에 불어 넣는 방식이다(조정은, 2018: 343). 중국의 인두법에 관해서는 餘新忠, 2003; 邱仲麟, 2007; 梁其姿, 2012; 조정은, 2018 참고.

3) 본 논문에서 인두법과 우두법을 총칭할 때는 종두법(種痘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종두란 ‘두(痘)’를 ‘심는(種)’ 방법을 의미한다. 우두법이 들어오기 전에는 인두법을 종두법이라 칭했다. 이후 우두법이 들어오면서 이와 구별하기 위해 인간에게서 얻은 두를 이용하는 것을 인두법이라 부르게 된다(신동원, 2013: 179).

4) 우두 접종이 확대되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시기는 윌리엄 록하트가 처음 우두법을 소개한 1843년부터 우두 접종이 자리를 잡아가는 1930년까지를 다루었다.

5) 공부국 연례보고서의 통계와 羅志如, 1932: 21을 함께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공부국 연례보고서에 의하면 추정치이다. 이 논문에서 공부국 연례보고서란 참고문헌 중 저자명이 Municipal Council Shanghai 혹은 Shanghai Municipal Council인 자료이다.

6) Shanghai Municipal Council, 1916: 74A; “Public Health Report, Shanghai, December 31st, 1903.,” CMMJ, 1904, p.146.

7) 1811년 10월 3일 영국 리버풀에서 태어났다. 런던에서 의학을 배웠는데 특히 외과와 안과에 정통했다고 전한다. 1839년 런던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 LMS) 소속으로 중국에 파견된다. 같은 해 마카오에 도착하여 중국어를 배웠으며 광저우(廣州), 저우산을 거쳐 1843년 11월 5일 상하이에 도착하였다(조정은, 2017 참고). 록하트가 상하이에 들어오기까지의 과정에 대해서는 兪鴻鈞, 1936: 11; 朱明德 외, 1999: 3 참고.

8) 1870년 1월 21일 『工部局董事會會議錄』(上海市檔案館, 2001: 686-687; 福士由紀, 2015: 36).

9) 접종자 수만 기록되어 있어 재접종자도 포함되는지는 알 수 없다. 1856년부터 1896년의 자료는 (Elliston, 1941: 34)을, 1898년과 1899년의 자료는 (Municipal Council Shanghai, 1899: 108)을 이용하였다.

10) 이 숫자가 인제의원 본원에서 시행된 수인지 아니면 분원인지, 혹은 본원과 분원을 합친 수인지는 불분명하다.

11) 중국어 이름이나 영어 이름이 매우 다양하고 사료마다 다르게 표기되어 있어 연구자가 같은 인물이라고 미처 생각하지 못하기도 한다(蘇精, 2019 참고).

12) 1870년 6월 6일 『工部局董事會會議錄』(上海市檔案館, 2001: 711).

13) Stanley, Arthur. “How to Initiate Public Health Work in Chinese Cities. Some Practical Details,” CMJ, 1915, p.221.

14) 위생처의 접종 건수만을 정리한 것으로, 민간 병원의 접종 건수는 빠져있다. 당연히 공공조계 전체의 접종 건수는 이보다 더 많았을 것이다. 접종 건수만 기록되어 있어 재접종도 포함되는지, 포함된다면 재접종 건수는 어느 정도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1916년의 경우, 총 14,426건의 무료접종 중 10,500건은 어린아이의 첫 번째 우두 접종이었다고 한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17: 55A). 또한 정확한 숫자를 알 수 없는 연도는 생략하였다.

15) 지구별 인구수는 추정치이며, 배나 보트에 거주하는 사람은 제외하였다.

16) 「工部局公報摘錄」, 『申報』, 1927년 9월 30일

17) 1871년 11월 23일 『工部局董事會會議錄』(上海市檔案館, 2001: 846).

18) 1872년 1월 8일 『工部局董事會會議錄』(上海市檔案館, 2001: 530).

19) 1872년 1월 22일, 『工部局董事會會議錄』(上海市檔案館, 2001: 532).

20) 1883년 2월 26일 『工部局董事會會議錄』(上海市檔案館, 2001: 497).

21) “The Municipal Council,” China Herald and Supreme Court & Consular Gazette, Shanghai, Oct 17, 1898.

22) “The Municipal Council,” China Herald and Supreme Court & Consular Gazette, Shanghai, Jan 16, 1899.

23) “The Municipal Council,” China Herald and Supreme Court & Consular Gazette, Shanghai, Jul 17, 1899.

24) 아서 스탠리 의사(Dr. Arthur Stanley, 1868-?): 미국 서퍽주 출신으로 1898년 상하이에 와서 공부국 위생관으로 활동하였다(Wright, 1908: 437).

25) Arthur Stanley, “Extracts from the Health Officer’s Report. Shanghai, 1907.,” CMJ, 1908, p. 331.

26) “China: Shanghai. Smallpox. Plague Rats,” Public Health Reports 26, 1911, p. 49.

27) “Smallpox in Shanghai,” CMJ, 1923, p. 449.

28) “Public Health Report, Shanghai, December 31st, 1903.,” CMMJ, 1904, p.147; “Health Department Shanghai, 1905.,” CMMJ, 1906, p.185.

29) 1870년 3월 10일 『工部局董事會會議錄』(上海市檔案館, 2001: 737).

30) “Vaccine in Hot Weather,” CMJ, 1914, p.280; Shanghai Municipal Council, 1916: 86A-87A.

31) 상하이에서 두창은 겨울에 유행하였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896: 95). 두창은 10월부터 다음 해 5월까지 유행한다(内務省衛生局, 1916: 185).

32) Edward H. Home, “Public Health in Changsha, Hunan,” CMJ, 1917, p.308.

33) “Vaccination in Shanghai,” CMJ, 1925, p. 477.

34) 맞으러 왔을 때 100문, 회복하면 조양을 위해 다시 200문을 주었다(黃春圃, 1869: 189).

35) “Public Health Report, Shanghai, December 31st, 1903.,” CMMJ, 1904, p. 146.

36) 1910년 11월 16일 『工部局董事會會議錄』(上海市檔案館, 2001: 694-695).

37) “Shanghai Workmen Object to Vaccination,” CMJ, 1923, p. 536.

38) “Public Health Report, Shanghai, December 31st, 1903.,” CMJ, 1904, p. 146.

39) Arthur Stanley, “Extracts from the Health Officer’s Report. Shanghai, 1907.,” CMJ, 1908, p. 333.

40) Noel Davis, “Shanghai Municipal Council; Public Health Department Annual Report, 1921,” CMJ, 1923, p. 679. 물론 중국인들도 마찬가지였다(Shanghai Municipal Council, 1922: 99A).

Figure 1.
그림 1. 1906년 공부위생국의 무료우두접종 광고
Handbill of Free Vaccinations from Municipal Health Department (1906)
(CMMJ, no. 6, 1906: 236)
kjmh-29-1-121f1.jpg
Figure 2.
그림 2. 무료우두접종 광고
Advertisements of Free Vaccinations
(https://wellcomelibrary.org; 内務省衛生局, 1916: 193)
kjmh-29-1-121f2.jpg
Table 1.
표 1. 상하이의 인구 변화(1870-1930)
Population Movement in Shanghai(1870-1930)
연도 공공조계 프랑스조계 화계
1870 76,713 - -
1876 97,335 - -
1880 110,039 - -
1885 129,338 - -
1890 171,950 - -
1895 245,679 52,188 -
1900 352,050 92,263 -
1905 464,213 96,963 -
1910 501,541 115,946 568,372
1915 638,920 149,000 -
1920 783,146 170,229 -
1925 840,226 297,072 -
1930 1,007,868 434,807 1,669,575
kjmh-29-1-121i1.jpg

(羅志如, 1932: 21; -는 숫자 미상)

Table 2.
표 2. 공공조계 인구수(1870-1930년)
Number of Population in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1870-1930)
연도 중국인 외국인 합계
1870 75,047 1,666 76,713
1876 95,662 1,673 97,335
1880 107,844 2,195 110,039
1885 125,665 3,673 129,338
1890 168,129 3,821 171,950
1895 240,995 4,684 245,679
1900 345,276 6,774 352,050
1905 452,716 11,497 464,213
1910 488,005 13,536 501,541
1915 620,401 18,519 638,920
1920 759,839 23,307 783,146
1925 810,279 29,947 840,226
1930 971,397 36,471 1,007,868
kjmh-29-1-121i2.jpg
Table 3.
표 3. 상하이 공공조계 두창 사망자 수(1887-1930)
Deaths from Smallpox in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 (1887-1930)
연도 중국인 외국인 합계 연도 중국인 외국인 합계
1887 76 7 83 1909 19 0 19
1888 54 2 56 1910 304 13 317
1889 29 1 30 1911 156 10 166
1890 79 4 83 1912 124 3 127
1891 223 3 226 1913 207 12 219
1892 78 5 83 1914 162 11 173
1893 184 11 195 1915 106 15 121
1894 125 9 134 1916 3 0 3
1895 138 7 145 1917 188 18 206
1896 316 19 335 1918 107 4 111
1897 92 2 94 1919 0 1 1
1898 65 2 67 1920 0 0 0
1899 183 7 190 1921 204 44 248
1900 54 0 54 1922 230 10 240
kjmh-29-1-121i3.jpg
Table 4.
표 4. 인제의원 우두 접종 건수 (1856-1899)
Number of Vaccination Cases in Renji Hospital(1856-1899)
연도 접종 건수 연도 접종 건수
1856 378 1882 6365
1864 300 1883 5462
1869 1670 1884 6391
1870 1861 1886 7230
1871 1563 1887 7388
1872 2558 1888 5862
1873 2994 1889 5233
1874 3365 1890 7389
1875 3500 1891 6170
1876 3982 1892 7049
1877 3833 1894 7459
1878 5426 1895 8344
1879 5129 1896 7163
1880 5414 1898 43
1881 4934 1899 32
kjmh-29-1-121i4.jpg
Table 5.
표 5. 공공조계 우두 접종 건수(1903-1930)
Number of Vaccination Cases in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1903-1930)
연도 접종 수 연도 접종 수
1903 520 1915 18,029
1904 380 1916 14,426
1905 465 1917 20,285
1906 474 1918 26,315
1907 1,418 1919 15,087
1908 4,649 1920 14,981
1909 3,244 1921 33,962
1910 4,608 1923 40,828
1911 4,933 1924 38,005
1912 6,108 1927 39,421
1913 13,029 1929 72,790
1914 11,273 1930 54,191
kjmh-29-1-121i5.jpg
Table 6.
표 6. 지구별 인구수 및 우두 접종 건수(1929년)
Number of Population and Vaccination Cases in Each District(1929)
외국인 수 중국인 수 합계
중앙지구 1,500 135,000 136,500
북지구 11,000 170,000 187,798
동지구 7,000 300,760 181,000
서지구 5,000 225,000 230,000
합계 24,500 830,760 855,260
kjmh-29-1-121i6.jpg
Table 7.
표 7. 우두제조소에서 만든 백신 튜브의 수(1898-1930년)
Number of Vaccine Tubes Produced in Municipal Laboratory(1898-1930)
연도 튜브 수 연도 튜브 수
1898 25,000 1911 54,965
1899 30,000 1912 100,025
1900 112,500 1913 106,640
1901 65,000 1914 99,005
1902 60,000 1915 117,440
1903 170,000 1916 317,370
1904 142,500 1917 300,846
1905 105,660 1918 89,600
1906 79,790 1919 126,505
1907 99,975 1920 228,357
1908 84,395 1924 216,069
1909 87,300 1927 193,295
1910 50,220 1930 335,148
kjmh-29-1-121i7.jpg
Table 8.
표 8. 1930년 월별 우두 접종 건수
Number of Vaccination Cases per Month(1930)
접종수
중국인 외국인
1 457 34
2 2,921 58
3 21,591 77
4 8,567 21
5 4,137 39
6 72 0
7 293 5
8 0 0
9 0 0
10 5,036 61
11 6,268 75
12 4,444 35

References

『上海衛生狀況』 (内務省衛生局. 1916).

『申報』.

羅 志如, 『統計表中之上海』 (國立中央硏究院 社會科學硏究所. 1932).

上海公共租界工部局, 『上海公共租界工部局年報』 (公共租界工部局. 1930).

上海工部局 衛生處處長 喬登, 「關於仁濟醫院」, 『九十年来爲華人服務之仁濟醫院』 (興華公司. 1936), [上海圖書館 近代文獻資料室].

上海市檔案館 編, 『工部局董事會會議錄』1854-1943 (上海古籍儲版社. 2001).

兪 鴻鈞, 『九十年来爲華人服務之仁濟醫院』 (興華公司. 1936), [上海圖書館 近代文獻資料室].

池田桃川, 『上海百話』 (日本堂. 1923).

陳 榮廣, 『老上海』 (上海: 泰東圖書局, 1919).

黃 春圃, 「上海城隍廟花園內官設牛痘局單」, 『中國敎會新報』 (1869), [上海圖書館 近代文獻資料室].

China Herald and Supreme Court & Consular Gazette.

Chinese Hospital(Shanghai), Report of the Chinese Hospital, at Shanghae, from July 1st 1847, to December 31st, 1848 (Shanghae: [s.n.], 1849).

Chinese Hospital(Shanghai), The Tenth Annual Report of the Chinese Hospital, at Shanghae, from January 1st, to December 31st, 1856 (Shanghae: [s.n.], 1857).

CMJ (The China Medical Journal).

CMMJ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Journal).

Elliston E. S., Ninety-five Years: A Shanghai Hospital, 1844-1938 (The Lester Chinese Hospital. 1941).

Henderson James, Memorials of James Henderson, M.D.: Medical Missionary to China (James Nisbet and Co.. 1867).

Lockhart William, A Short Treatise on the Preservation of Infants by Inoculation, Dublin Journal of Medical Science 23-1 (1843).
crossref pdf
Lockhart William, The Medical Missionary in China: A Narrative of Twenty Years ’ Experience (London: Hurst and Blackett, 1861).

Municipal Council Shanghai, Report for the Year 1907 and Budget for the Year 1908 (Shanghai: Printed by Kelly&Walsh, Limited, Canton Road, 1908).

Municipal Council Shanghai, Report for the Year Ended 31th December 1895 and Budget for the Year Ending 31st December 1896 (Shanghai: Printed by Kelly&Walsh, Limited, Nanking Road, 1896).

Municipal Council Shanghai, Report for the Year Ended 31th December 1898 and Budget for the Year Ending 31st December 1899 (Shanghai: Printed by Kelly&Walsh, Limited, Nanking Road, 1899).

Parker Pater, Report of the Medical Missionary Society in China. For the Year 1845 (Hongkong Register Press. 1846).

Public Health Reports.

Shanghai Municipal Council, Report for the Year 1915 and Budget for the Year 1916 (Shanghai: Printed by Kelly&Walsh, Canton Road, 1916).

Shanghai Municipal Council, Report for the Year 1916 and Budget for the Year 1917 (Shanghai: Printed by Kelly&Walsh, Canton Road, 1917).

Shanghai Municipal Council, Report for the Year 1921 and Budget for the Year 1922 (Shanghai: Printed by Kelly&Walsh, Ferry Road, 1922).

Shanghai Municipal Council, Report for the Year 1929 and Budget for the Year 1930 (Shanghai: Printed by Kelly&Walsh, Ferry Road, 1930).

Shanghai Municipal Council, Report for the Year 1930 and Budget for the Year 1931 (Shanghai: Printed by Kelly&Walsh, Ferry Road, 1931).

Shanghai Municipal Council, Report for the Year Ended 31 st December 1899 and Budget for the Year Ending 31st December 1900 (Shanghai: Printed by Kelly&Walsh, Limited, Nanking Road, 1900).

Shanghai Municipal Council, Report for the Year Ended 31th December 1896 and Budget for the Year Ending 31 st December 1897 (Shanghai: Printed by Kelly&Walsh, Limited, Nanking Road, 1897).

Shanghai Municipal Council, The Minutes of the Shanghai Municipal Council, 18541943 (上海古籍儲版社. 2001).

Wright Arnold, Twentieth Century Impressions of Hong-kong, Shanghai, and other Treaty Ports of China (London Lloyd’s Greater Britain Pub. Co.. 1908).

Chimin Wong K. (王吉民)·Lien-the Wu (伍連德), History of Chinese Medicine : Being a Chronicle of Medical Happenings in China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Period (Tientsin: The Tientsin Press, 1932).

강 신익·신 동원·여 인석·황 상익, 『의학오디세이』 (역사비평사. 2007).

邱 仲麟, 「明淸的人痘法」, 『央硏究院歴史語言硏究所集刊』 77-3 (2007).

陶 熾, 「中華民國江蘇地方二於ケル痘瘡豫防及ビ罹患二關スル調査」, 『上海自然科學硏究所彙 報』 4 (1935).

羅 振宇, 「上海工部局公共衛生管理硏究(1854-1937)」, 華東師範大學 박사논문 (2016).

梁 其姿, 『面對疾病: 傳統中國社會的醫療觀念與組織』 (北京: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12).

馬 伯英·高 晞·洪 中立, 『中外醫學文化交流史: 中外醫學跨文化傳通』 (文匯出版社. 1993).

朴 基水, 「淸 중엽 牛痘法의 도입과정과 광동 行商의 역할」, 『명청사연구』 40 (2013).

福士由紀, 「中國における予防接種の歴史的展開: 種痘對策を中心に」, 『海外社會保障硏究』 192 (2015).

福士由紀, 『近代上海と公衆衛生: 防疫の都市社會史』 (東京: 御茶の水書房, 2010).

蘇 精, 『西醫來華十記』 (元華文創股份有限公司. 2019).

신 동원, 『호환 마마 천연두: 병의 일상 개념사』 (돌베개. 2013).

餘 新忠, 『淸代江南的瘟疫與社會』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3).

王 爾敏, 『近代上海科技先驅之仁濟醫院與格致書院』 (桂林: 宇宙光, 2006).

熊 月之, 『上海通史』1 (上海人民出版社. 1999).

조 정은, 「의료선교사의 눈으로 본 근대 도시 상하이의 시작」, 『명청사연구』 47 (2017).

조 정은, 「의학지식의 수용과 변용: 우두법(種痘法)의 전래와 한문 우두서(牛痘書)를 중심으로」, 『명청사연구』 49 (2018).

朱明德 외 주편, 『仁濟醫院155年(1844-1999)』 (華東理工大學出版社. 1999).

陳 佩·范 關榮 주편, 『仁術濟世: 上海第一家西醫醫院的百年故事』 (復旦大學出版社. 2010).

최 규진, 「우두정책을 통해 본 일제의 식민 통치」,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14).

彭 善民, 『公共衛生與上海都市文明(1898-1949)』 (上海人民出版社. 2007).

Macpherson Kerrie L., A Wilderness of Marshes: The Origins of Public Health in Shanghai, 1843-1893 (Lexington Books. 2002).

Nakajima Chieko, Body, Society, and Nation: the Creation of Public Health and Urban Culture in Shanghai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2018).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1
Web of Science
0
Crossref
1
Scopus
6,243
View
123
Download
Related article
A History of Smallpox Vaccination in Modern China: Vaccine Techniques, Instruments, and Localization  2023 April;32(1)
Editorial Office
The Korean Society for the History of Medicine,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Korea (06591)
TEL: +82-2-3147-8306   FAX: +82-2-3147-8480   E-mail: medhistory@hanmail.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  KSHM HOME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for the History of Medicine.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