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8세기 조선의 임상 의학은 어떻게 이뤄졌을까† - 『역시만필』을 통해 살펴본 의관 이수기의 임상 의학-
오재근
Korean J Med Hist. 2022;31(1):1-3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1
|
|
|
해방직후 보건의료체제 논쟁과 통일국가 보건의료정책 구상
김진혁
Korean J Med Hist. 2021;30(3):499-54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1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1.30.499
|
|
|
청대 의약시장의 변화와 ‘가짜 약’ 논란
최지희
Korean J Med Hist. 2021;30(2):277-315.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1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1.30.277
|
|
|
조선후기 의관(醫官) 가문의 인원 구성과 계보적 연계 -『의역주팔세보(醫譯籌八世譜)』 수록 인원 분석을 중심으로-
권기석
Korean J Med Hist. 2021;30(2):221-275.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1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1.30.221
|
|
|
조선 후기 의학의 표면과 이면 - 의학 지식 체계를 중심으로 -
오준호
Korean J Med Hist. 2021;30(1):69-10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1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1.30.69
|
|
|
조선 의관 허준의 두창 의학과 ‘변증(辨證)’
오재근
Korean J Med Hist. 2021;30(1):35-68.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1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1.30.35
|
|
|
미키 사카에의 연구와 생애를 통해 본 한일 의학 관계사
서기재
Korean J Med Hist. 2020;29(3):1065-110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1065
|
|
|
의료인류학의 연구동향과 전망: 개념의 전개와 의료사와의 접점을 중심으로
윤은경, 김태우
Korean J Med Hist. 2020;29(3):903-95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903
|
|
|
의료사회학의 연구동향과 전망: 개념의 전개와 의료사와의 접점을 중심으로
김재형, 이향아
Korean J Med Hist. 2020;29(3):843-90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843
|
|
|
서양의학사 연구동향과 전망, 2011~2020: 연구주제의 확장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
이현주
Korean J Med Hist. 2020;29(3):783-84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783
|
|
|
동아시아 의학사 연구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시론: 이분법의 서사 및 저편의 “전통”을 넘어서
이기복
Korean J Med Hist. 2020;29(2):569-611.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569
|
|
|
일본 의학사의 연구동향과 전망: 연구 주제와 방법론의 확대
김영수
Korean J Med Hist. 2020;29(2):465-501.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465
|
|
|
한국 근현대의료사의 연구동향과 전망 (2010-2019): 사회사적 관점의 부상과 민족주의적 이분법의 약화
박윤재
Korean J Med Hist. 2020;29(2):425-463.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425
|
|
|
한국 전근대의료사의 연구동향과 전망(2010-2019): 분야의 확장과 연구 방법의 다양화
김성수
Korean J Med Hist. 2020;29(2):371-423.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371
|
|
|
“Medicine of the Grassroots”: Korean Herbal Medicine Industry and Consump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Yong-yuan HUANG
Korean J Med Hist. 2020;29(1):215-27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215
|
|
|
종교적 신화와 역사적 유산: 성 코스마스와 성 다미안은 어떻게 외과 의학의 수호성인이 되었나? - 「검은 다리의 기적」에서 21세기 이식의학까지 -
서종석
Korean J Med Hist. 2020;29(1):165-21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165
|
|
|
동아시아 의서와 의료실천: 동의보감학파들을 통해 읽는 텍스트와 실천 그리고 동아시아의학 지식
김태우
Korean J Med Hist. 2019;28(2):591-620.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9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9.28.591
|
|
|
일제 시대 ‘의생(醫生)’ 김광진의 황달 투병기 - 김광진의 『치안』, 『치달일기』 분석 -
오재근
Korean J Med Hist. 2019;28(2):427-468.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9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9.28.427
|
|
|
사회주의 진영의 북한 의료지원과 교류(1945-1958): ‘소련배우기’와 ‘주체적’ 발전의 틈새에서
김진혁, 문미라
Korean J Med Hist. 2019;28(1):139-19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9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9.28.139
|
|
|
중세 동아시아의 생명, 신체, 물질, 문화 탐구: 고려의 『향약구급방』을 중심으로
이기복, 김상현, 오재근, 전종욱, 신동원
Korean J Med Hist. 2019;28(1):1-42.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9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9.28.1
|
|
|
어느 시골 농부의 ‘반의사’(半醫師) 되기: 『대곡일기』로 본 1960-80년대 농촌 의료
박승만
Korean J Med Hist. 2018;27(3):397-446.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8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8.27.397
|
|
|
대한적십자병원(1905-1907): 설립 및 운영, 그리고 폐지를 중심으로*
이규원, 최은경
Korean J Med Hist. 2018;27(2):151-184.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8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8.27.151
|
|
|
일제시기 한의학 교육과 전통 한의학의 변모 -한의학 강습소를 중심으로-*
황영원
Korean J Med Hist. 2018;27(1):1-48.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8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8.27.1
|
|
|
한센병을 둘러싼 제국의학의 근대사 -일본어 미디어를 통해 본 대중관리 전략-*
서기재
Korean J Med Hist. 2017;26(3):417-454.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417
|
|
|
조선인민군의 군의(軍醫)체계 형성과 군의장교*
김선호
Korean J Med Hist. 2017;26(3):379-416.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379
|
|
|
연길 소영자 출토 유물로 본 동아시아 침구류(針具類)의 기원*
강인욱, 차웅석
Korean J Med Hist. 2017;26(3):339-37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339
|
|
|
1960-70년대 한국 정신의학 담론 연구* - 정신위생학에서 현대 정신의학으로 -
임지연
Korean J Med Hist. 2017;26(2):181-214. Published online August 30,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181
|
|
|
From Woohwang Cheongsimwon (牛黃淸心元)* to Ginseng (人蔘) - The History of Medicine Use in the Joseon Era -**
Seong-su KIM
Korean J Med Hist. 2017;26(2):147-180. Published online August 30,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147
|
|
|
제바스티안 크나이프와 독일 자연치유운동 자연주의와 근대의학 사이에서*
고유경
Korean J Med Hist. 2016;25(3):557-59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557
|
|
|
신라 승려의 『금광명경』「제병품」 주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 고대 불교의학*
오재근, 전종욱, 신동원
Korean J Med Hist. 2016;25(3):329-37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3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