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세기 후반 전의감 의학생도의 유형별 진로 양상 분석 - 『전함생도안』과 『별천팔세안』의 인물을 중심으로
신은정, 우현정
Korean J Med Hist. 2024;33(3):599-64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4.33.599
|
|
|
한국 보건간호의 이상과 현실: 미국 간호자문관의 활동과 그 영향, 1945~1961
이경희, 정준호
Korean J Med Hist. 2024;33(2):331-369.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4.33.331
|
|
|
4월 혁명과 의료 공간의 장소성: 서울 도심의 주요 병원을 중심으로
신창훈
Korean J Med Hist. 2024;33(1):103-13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4.33.103
|
|
|
일제강점기 경성 지역 한의원 이용 실태: 1931년도 보춘의원(普春醫院) ‘장부’ 분석을 통해 본 경우
전종욱, 신동원
Korean J Med Hist. 2024;33(1):59-101.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4.33.59
|
|
|
원말 의학과 유학의 결합 양상: 단계 주진형을 중심으로
민병희
Korean J Med Hist. 2023;32(3):1075-112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3.32.1075
|
|
|
1950-70년대 차이나메디컬보드(CMB)의 한국 지원과 특징: Annual Report를 중심으로
신미영
Korean J Med Hist. 2023;32(1):387-422.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3.32.387
|
|
|
주민참여로 마을의 건강을: 1970-80년대 마을건강원 활동과 보건의료에서의 주민참여 논쟁
정다혜
Korean J Med Hist. 2022;31(3):793-837.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793
|
|
|
치료냐 예방이냐? 결핵 퇴치 운동의 우선권 논의: 20세기 전환기 프랑스를 중심으로
민유기
Korean J Med Hist. 2022;31(3):691-72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691
|
|
|
전문직의 젠더: 도쿄제국대학 부속병원으로 본 근대 일본 의사와 간호사의 위계
최자명
Korean J Med Hist. 2022;31(3):647-689.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647
|
|
|
사이토 총독 시기 신설 도립의원에 관한 지정학적 고찰
이방원
Korean J Med Hist. 2022;31(2):393-428.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393
|
|
|
해방직후 보건의료체제 논쟁과 통일국가 보건의료정책 구상
김진혁
Korean J Med Hist. 2021;30(3):499-54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1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1.30.499
|
|
|
최초의 ‘국내파’ 여성의사 안수경(安壽敬), 김영흥(金英興), 김해지(金海志) 연구
이영아
Korean J Med Hist. 2021;30(1):101-14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1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1.30.101
|
|
|
조선해관의 검역체계 구축과정과 감염병 해외유입에 대한 대응(1886∼1893)
진칭
Korean J Med Hist. 2020;29(3):1029-1064.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1029
|
|
|
의료인류학의 연구동향과 전망: 개념의 전개와 의료사와의 접점을 중심으로
윤은경, 김태우
Korean J Med Hist. 2020;29(3):903-95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903
|
|
|
중국 의학사 연구동향과 전망 - 융합·소통을 통한 의학사 연구의 다원화 -
김대기
Korean J Med Hist. 2020;29(3):735-78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735
|
|
|
마르스(Mars)와 에로스(Eros) 사이: 제1차 세계대전기 영국 육군의 성병 대응 노력
강창부
Korean J Med Hist. 2020;29(2):673-710.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673
|
|
|
동아시아 의학사 연구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시론: 이분법의 서사 및 저편의 “전통”을 넘어서
이기복
Korean J Med Hist. 2020;29(2):569-611.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569
|
|
|
한국전쟁기 북한의 전시 보건의료체계 구축과 연변 조선인 사회의 지원
문미라
Korean J Med Hist. 2020;29(2):503-535.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503
|
|
|
근대 상하이 공공조계 우두 접종과 거주민의 반응: 지역적·문화적 비교를 중심으로
조정은
Korean J Med Hist. 2020;29(1):121-16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121
|
|
|
조선전기 의료기구 개편의 성격과 그 의의
이경록
Korean J Med Hist. 2020;29(1):1-42.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1
|
|
|
보구녀관(普救女館)의 명칭과 표기에 관한 재고찰
이희재, 강문석, 권복규
Korean J Med Hist. 2019;28(3):685-72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9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9.28.685
|
|
|
“한민족의 뿌리”를 말하는 의사들: 의학 유전학과 한국인 기원론, 1975-1987
현재환
Korean J Med Hist. 2019;28(2):551-590.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9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9.28.551
|
|
|
‘행동의 유전’에 관한 다윈의 진화론과 19세기 신경과학의 만남: 다윈이 라마르크의 진화론을 극복하는데 신경과학이 미친 영향
한선희
Korean J Med Hist. 2019;28(1):291-35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9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9.28.291
|
|
|
사회주의 진영의 북한 의료지원과 교류(1945-1958): ‘소련배우기’와 ‘주체적’ 발전의 틈새에서
김진혁, 문미라
Korean J Med Hist. 2019;28(1):139-19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9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9.28.139
|
|
|
중국 원대 의료관원의 선발과 관리 -의호(醫戶)제도와 의학과거제의 실시를 중심으로-
김대기
Korean J Med Hist. 2017;26(3):455-50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455
|
|
|
한센병을 둘러싼 제국의학의 근대사 -일본어 미디어를 통해 본 대중관리 전략-*
서기재
Korean J Med Hist. 2017;26(3):417-454.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417
|
|
|
용정의과대학(龍井醫科大學)의 설립과 운영 - 변경사로서 용정의과대학의 역사: ‘단절’과 ‘연속’의 관점에서 -
문미라, 신영전
Korean J Med Hist. 2017;26(2):215-264. Published online August 30,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215
|
|
|
근대 일본의‘병원’: 용어의 도입과 개념형성을 중심으로*
김영수
Korean J Med Hist. 2017;26(1):29-58.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29
|
|
|
아스클레피오스 신앙과 초기 기독교의 관계에서 본 병원의 기원*
여인석
Korean J Med Hist. 2017;26(1):3-28. Published online April 30, 2017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7.26.3
|
|
|
일제 식민지기‘원산노동병원’의 설립과 그 의의
정일영, 신영전
Korean J Med Hist. 2016;25(3):445-48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6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6.25.445
|
|